청와대 수석급, 조국 민정수석 49억8천만원 최고액
윤석렬 서울중앙지검장, 64억7천만원 중 62억 배우자 재산
윤석렬 서울중앙지검장, 64억7천만원 중 62억 배우자 재산
정부공직자윤리위원회는 25일 관보를 통해 전·현직 고위공직자 72명의 재산신고 내역을 공개했다. 이 가운데 32명은 지난 5월 새 정부 들어 임명됐고, 박근혜 정부 소속이던 40명은 퇴임했다.
이날 공개된 내역을 보면, 문재인 대통령의 재산은 경남 양산 사저와 제주 한경면 청수리 임야 등 토지와 건물을 합한 부동산 10억9천여만원과 예금 8억6천여만원 등 모두 18억2246만원이다. 특히 2012년과 올 대선을 앞두고 각각 펴냈던 책 <문재인의 운명>과 <대한민국이 묻는다>로 거둔 소득금액을 각각 550만6천원과 7648만원으로 신고해 눈길을 끌었다.
문 대통령을 포함해 이날 재산이 공개된 청와대 인사의 평균 재산은 약 19억7천만원으로 나타났다. 임종석 비서실장은 서울 은평구의 아파트(4억4천여만원)와 예금 7500여만원을 신고했지만, 주택 구입자금으로 9400만원을 대출받아 재산 총액은 4억3천만원으로 계산됐다.
청와대 참모진 가운데 재산 신고액 1위는 93억1900만원을 신고한 장하성 정책실장이다. 장 실장은 경기 가평과 전남 해남, 전북 순창 등 물려받은 토지(2억5900만원)와 서울 송파구 아파트 등 건물(약 13억원), 본인과 배우자 등 명의 예금(약 23억3천만원) 외에 유가증권으로 53억7만원을 보유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석비서관급 가운데는 조국 민정수석의 신고액이 가장 많았다. 조 수석은 예금 약 20억원과 건물과 토지 등 부동산 약 17억원 등 모두 49억8천여만원을 신고했다. 정의용 국가안보실장은 약 23억8천만원을, 윤영찬 국민소통수석은 약 19억4천만원을, 주영훈 경호실장은 약 14억2천만원을 각각 신고했다. 전병헌 정무수석과 김수현 사회수석도 각각 12억9천만원과 12억6천만원의 재산을 신고했다. 수석비서관 가운데 신고 재산액이 가장 낮은 사람은 하승창 사회혁신수석(3억1천만원)이었다. 청와대 재산신고 대상자 15명 가운데 하 수석과 주영훈 경호실장, 임종석 비서실장 등 3명을 뺀 나머지 12명은 보유한 건물이 2채 이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인사청문회 당시 배우자의 부동산 임대업 때문에 입길에 올랐던 서훈 국정원장은 건물 28억원과 예금 17억원 등 36억5천여만원을 신고했다. 피우진 국가보훈처장은 경기 수원의 다가구주택(5억5천만원)과 예금(7억1천만원) 등 모두 11억9천여만원을 신고했다.
윤석렬 서울중앙지검장은 모두 64억7천여만원을 신고했는데, 이 가운데 본인 명의 예금 2억7천여만원을 뺀 나머지는 모두 배우자의 재산으로 나타났다.
박근혜 정부 출신 인사 가운데는 정연국 전 청와대 대변인과 박요찬 전 정무비서관이 각각 59억여원을 신고해 재산이 가장 많았다. 조대환 전 민정수석과 배성례 전 홍보수석도 각각 42억1천여만원과 36억4천여만원을 신고했다. 황교안 전 국무총리는 서울 서초구와 경기 용인 수지 등 본인과 배우자 명의 건물 3채(약 14억원)아 예금 등 모두 27억8천여원을 신고했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