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7월7일 새벽 4시 판문점 북쪽 지역 통일각에서 개성공단 남북 실무회담이 진행중인 가운데 통일각 위로 먼동이 트고 있다. 당시 회담은 6일~7일에 걸쳐 16시간 동안 열렸다. 사진공동취재단
4월말로 예정된 ‘2018 남북 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남북 고위급회담이 오는 29일 판문점 북쪽 지역 통일각에서 열린다.
통일부 당국자는 25일 “북쪽이 어제(24일) 오전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해 지난 22일 우리 쪽이 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고위급회담을 열자고 제의한 데 대해 동의해왔다”며 “북쪽은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을 단장으로 3명의 대표단을 내보낼 것이며, 실무적인 문제들은 판문점 연락채널을 통해 협의해 나가자고 했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지난 22일 정상회담 일정과 의제 등을 논의하기 위한 고위급회담을 29일 판문점 통일각에서 열자고 북쪽에 제의했다. 당시 정부는 우리 쪽에서 조명균 통일부 장관을 수석대표로 하는 대표단 3명을 파견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조 장관과 리선권 위원장은 문재인 정부 들어 첫 남북회담이었던 지난 1월9일 북한의 평창겨울올림픽 참가를 위한 고위급회담을 이끌었다.
2차 고위급회담에서 우리 쪽은 이미 정상회담 준비위원회가 밝힌 △한반도 비핵화 △획기적 군사 긴장 완화를 포함한 항구적 평화 정착 △새롭고 담대한 남북관계의 진전 등 3대 의제를 북쪽에 제시할 것으로 보인다. 또 특사단 파견을 통해 합의한 정상 간 핫라인(직통전화) 설치에 대해서도 실무적인 협의도 이뤄질 전망이다.
특히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이 지난 5일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 등 남쪽 특사단과 만나 비핵화 의지를 밝히면서 제시한 ‘조건’에 대해 집중적인 논의가 이뤄질 것으로 보인다. 당시 김 위원장이 제시한 △군사적 위협 해소 △체제 안전 보장 등 비핵화의 조건에 대해 북쪽이 얼마나 구체적인 설명을 내놓을 것인지에 관심이 쏠린다.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