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국방·북한

문 대통령·김정은, 비핵화·평화 정착 ‘묘수’ 찾을까

등록 2018-03-29 18:13수정 2018-03-29 22:50

-4·27 남북정상회담 개최 합의-
두번째 고위급회담 일사천리
조명균 “시작이 반…이상의 성과”
리선권 “민족사에 남을만한 기록”
점심 거른 채 3개항 공동보도문 합의

남북정상회담 판짜기 분주
새달 4일 의전·경호 등 실무회담
“필요하면 고위급회담 또 열 수도”
조명균 통일부장관과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위원장이 29일 오전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열린 남북 고위급회담을 위해 회담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조명균 통일부장관과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조평통) 위원장이 29일 오전 판문점 북측 통일각에서 열린 남북 고위급회담을 위해 회담장으로 들어서고 있다. 사진공동취재단
79일 만에 열린 두번째 고위급회담에서 남과 북은 4월27일 판문점에서 정상회담을 열기로 합의했다. 지난 1월9일 첫번째 고위급회담이 열릴 때만 해도 상상하지 못했던 속도감이다. 남과 북의 최고지도자가 담판을 짓고 나면, 5월엔 사상 첫 북-미 정상회담이 이어진다. 불과 1년 전 ‘전쟁 위기설’에 휩싸였던 한반도가 평창겨울올림픽을 지나오며 냉전체제 해체를 향해 성큼성큼 나아가고 있다.

29일 판문점 북쪽 지역 통일각에서 열린 고위급회담에서 남쪽 수석대표인 조명균 통일부 장관은 “지난 1월9일 이후 지금까지 3개월이 채 안 되는 기간”이라며 “이 기간 중에 진행된 여러 가지 남북 간의 일들을 보면, ‘시작이 반’이란 말 이상의 좋은 성과가 많았다”고 말했다. 북쪽 대표단장인 리선권 조국평화통일위원회 위원장도 “80여일 동안에 일찍이 북남 관계에서는 한번도 있어본 적이 없는 그런 사변적인 일이 많이 생겼다”며 “조선 속담에 있는 것처럼 같이 마음을 맞추고 뜻을 맞추고 노력과 힘을 합쳤기 때문에, 평창을 비롯해서 민족사에 남을 만한 그런 기록들이 옳게 이뤄졌다고 생각한다”고 화답했다.

남과 북은 이날 점심도 거른 채 일사천리로 정상회담 일정 등 3개항의 공동보도문에 합의했다. 정상회담 의제와 관련해선 공동보도문에 구체적으로 담지 않았지만, 회담이 매끄럽게 진행된 것으로 미뤄 별다른 이견 없이 공감대를 이룬 것으로 보인다. 조 장관은 회담 뒤 브리핑에서 “정상회담 의제에 대해서 충분히 의견 교환이 있었다”며 “북쪽도 우리와 크게 생각이 다르지 않았다”고 말했다.

앞서 정부는 정상회담의 의제로 △한반도 비핵화 △평화 정착 △남북관계 발전 등 3가지를 꼽은 바 있다. 이 3가지는 톱니바퀴처럼 맞물려 있다. 북한이 비핵화의 길로 들어서기 위해선, 북에 대한 군사적 위협이 해소되고 체제 안전이 보장돼야 한다. 이것이 선행돼야 남북관계를 획기적으로 진전시킬 수 있다. 국제사회의 대북제재 국면에선 남북관계의 발전에 한계가 명확하기 때문이다. 김정은 북한 노동당 위원장도 지난 5일 정의용 청와대 국가안보실장이 이끈 특사단과 만나 “군사적 위협이 해소되고 체제안전이 보장된다면 핵을 보유할 이유가 없다”고 말한 바 있다.

따라서 다가오는 정상회담에선 비핵화·평화·남북관계를 세 축으로 놓고, 남과 북의 최고지도자가 직접 담판을 짓게 될 것으로 보인다. 남북관계의 발전에 대해선 이견이 없는 만큼, 결국 비핵화와 평화 정착을 맞바꿀 수 있는 ‘묘수’를 찾아내는 게 관건이 될 전망이다. 5월로 예정된 북-미 정상회담의 의제를 남과 북이 내놓을 수 있어야 한다는 얘기다.

새달에도 정상회담 준비를 위한 남북 접촉이 분주하게 이어질 전망이다. 남북이 이날 합의한 대로 다음달 4일엔 의전·경호·보도 실무회담이 예정돼 있다. 두 정상이 회담에 앞서 통화하기로 한 ‘핫라인’(직통전화) 설치를 위한 통신 실무회담도 일정을 잡아야 한다. 정상회담을 앞두고 고위급회담도 추가로 열릴 것으로 보인다. 조 장관은 “문재인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 간에 처음 만나는 자리인 만큼 서로 허심탄회하게 여러 가지 모든 문제들을 충분히 논의할 수 있도록 하는 방향에서 정상회담을 준비해나가자고 북쪽이 얘기했다”며 “그런 차원에서 필요하다면 4월 중에 다시 남북 고위급회담을 통해 그런 문제들을 정리해나가는 것으로 의견 접근을 이뤘다”고 말했다.

공동취재단, 정인환 기자 inhwa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평화를 위해 당당한 목소리가 필요합니다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1.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2.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3.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4.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5.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