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마스 오헤나 킨타나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11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이제훈 기자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이 유엔과 미국 등 각국 정부의 대북 제재 여파로 북한 주민의 상황이 나빠지고 있다며 ‘제재 (해제·완화) 문제’를 이른 시일 안에 논의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토마스 오헤아 킨타나 유엔 북한인권특별보고관은 11일 오후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현재 (유엔과 각국 정부의) 제재가 북한 주민의 사회경제적 상황을 참혹하게 하는 데 기여하고 있다”고 짚었다. 킨타나 보고관은 “제재 (해제·완화) 문제를 최대한 이른 시일 안에 논의해야 한다”(the issue of sanctions will have to be addressed as soon as possible)고 강조했다.
그는 방한 기간에 하나원(탈북자 초기 정착 지원 기관·시설)에서 만난 “탈북자들한테 ‘유엔을 어떻게 생각하나’라로 물으니 ‘유엔은 식량을 제공하고 도와주는 기관’, ‘유엔 제재로 주민 생활이 어려워졌다’는 엇갈린 답이 돌아왔다”고 설명했다.
킨타나 특별보고관은 이날 발표한 ‘성명’에서 “인도적 협력은 정치와 무관하게 이뤄져야 한다”며 “국제사회가 여러 행위자들의 (대북) 인도적 지원 사업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기를 촉구한다”고 밝혔다.
그는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신년사에서 ‘인민생활 개선’을 “당과 국가의 제일 가는 중대사”라 강조한 사실을 환기하며 “이는 북쪽 최고 지도자가 일반 주민의 어려움을 인식한 것으로 여겨지는데, 인식은 인권 개선의 첫 걸음”이라고 말했다.
그는 올해 한반도 평화 과정에서 “인권이 반드시 의제로 포함돼야 한다”고 회견 내내 거듭 강조했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