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27일(현지시간) 베트남 하노이 메트로폴 호텔에서 만나는 모습이 베트남-소련우정노동문화궁전에 마련된 국제미디어센터 스크린을 통해 중계되고 있다. 연합뉴스
260일 만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다시 마주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의 얼굴은 잔뜩 상기돼 있었다. 지난해 6월12일 싱가포르에서 열린 1차 북-미 정상회담 당시보다 더 긴장된 모습이었다.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은 27일 오후 6시28분(한국 시간 8시28분) 하노이 메트로폴 호텔에서 각각 6개씩의 양국 국기를 뒤에 놓고 반갑게 악수를 했다. 서로 팔을 어루만지는 등 친근함을 드러내는 스킨십이 오갔지만, 김 위원장은 미소를 짓다가도 중간중간 긴장된 표정을 감추지 못했다. 중국을 관통하는 오랜 시간의 기차 여정 탓인지 김 위원장의 얼굴에는 상당한 여독과 피로감도 엿보였다.
김 위원장은 단독회담에 들어가기 전 앉은 자리에서 나눈 환담에서 “어느 때보다 많은 고민과 노력 그리고 인내가 필요했던 그런 기간이었던 것 같다”며 1차 회담 뒤 2차 회담까지 있었던 험난한 과정을 언급하기도 했다. 낮은 목소리로 이 대목을 천천히 말하는 순간에는 트럼프 대통령을 쳐다보지 않고 정면 아래를 응시했다. 김 위원장은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듣는 중에도 양손을 몸 앞으로 가져와 깍지를 끼기도 했다. 볼은 발갛게 상기돼 눈에 띌 정도였다. 1차 회담 당시 김 위원장이 “모든 것을 이겨내고 이 자리까지 왔다”며 비교적 자신 있는 목소리로 ‘역사적 만남’ 자체에 의미를 부여한 것과는 다소 다른 뉘앙스였다.
이를 두고 일각에서는 실무선 차원에서 협상 내용이 정리됐더라도 정상 간 진행되는 회담에서 나올 수 있는 변수 탓에 김 위원장이 1차 회담보다 더 긴장한 게 아니겠느냐는 말도 나왔다. ‘협상의 달인’이라는 트럼프 대통령을 한 차례 겪어본 탓에 1차 회담 때보다 더 긴장할 수밖에 없었을 거란 분석이다.
이유진 기자 yjle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