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국방·북한

북·미 합의 못했지만 자극 피해…대화 불씨 살아있다

등록 2019-02-28 21:54수정 2019-02-28 21:58

완전 결렬로 보기 힘든 이유
트럼프 회담 마친 뒤 기자회견
“한미 연합군사훈련 재개 포기
대북제재 더 강화 안해” 확답
북이 먼저 대결로 갈 이유없어
김정은도 핵실험 않겠다고 밝혀
노동신문 등 북 보도 내용·방향
김정은 향후 일정 때 발언 주목
North Korea's leader Kim Jong Un (L) travels in a vehicle following the second US-North Korea summit in Hanoi on February 28, 2019. (Photo by JIJI PRESS / JIJI PRESS / AFP) / Japan OUT/2019-02-28 17:11:14/ <저작권자 ⓒ 1980-2019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North Korea's leader Kim Jong Un (L) travels in a vehicle following the second US-North Korea summit in Hanoi on February 28, 2019. (Photo by JIJI PRESS / JIJI PRESS / AFP) / Japan OUT/2019-02-28 17:11:14/ <저작권자 ⓒ 1980-2019 ㈜연합뉴스. 무단 전재 재배포 금지.>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의 2차 정상회담에서 ‘결렬’이라는 당혹스러운 결과에 맞닥뜨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은 앞으로 어떻게 움직일까? 하노이와 평양 어느 곳에서도 반응이 없다. 침묵이다.

일단 김 위원장의 행보를 가늠할 잣대는 두가지다. 첫째, 1일치 <노동신문>과 <조선중앙통신>의 보도 내용과 방향이다. 둘째, 김 위원장이 1~2일 베트남 ‘공식친선방문’ 일정을 소화하는 방식과 그 과정에서 내놓을 발언이다.

때이른 감이 있지만 북한 읽기에 밝은 전문가들은 김 위원장이 ‘오던 길을 계속 가려 할 것’이라고 전망한다. “현시점에서 아무런 합의에 이르지 못했다”(백악관 대변인)는 28일 발표 직후 트럼프 대통령의 회견에 실마리가 있다. 미국 변수와 북한 변수가 두루 있다.

첫째, 한-미 연합군사훈련을 재개하지 않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단언이다. 그는 회견에서 ‘한-미 군사훈련을 재개할 것이냐’는 질문이 나오자 “그건 오래전에 포기했다”고 잘라 말했다. 북쪽이 ‘한·미 양국의 도발’ 여부를 판단하는 가장 중요한 지표가 ‘대규모 한-미 군사훈련’이다. 전직 고위관계자는 “한-미 군사훈련 중단 상황이 지속된다면, 북쪽이 군사 도발 등 대결적 태도로 돌아설 이유가 없다”고 짚었다.

둘째, 대북 제재를 강화하지 않겠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약속’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제재를 더 강화할 생각이 있느냐’는 질문에 “이미 제재가 굉장히 강력해 더 필요하다고 보지 않는다”고 답했다. 그러곤 “북한 주민들도 생계를 이어가야 하고 그건 나한테도 중요한 문제”라거나 “김정은 위원장과 좋은 관계로 내 태도가 많이 바뀌었다”고 강조했다. 트럼프 대통령의 “그들의 관점도 일리가 있다”는 첨언은, 명백히 김 위원장을 의식한 것이다.

셋째, 김 위원장이 회담에서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를 더는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전언도 중요하다. 김 위원장이 ‘회담 결렬’에도 지난해 2월 평창겨울올림픽 이후 지속돼온 한반도 ‘평화 정세’의 궤도를 먼저 이탈할 생각은 없다는 함의가 있어서다. 김 위원장이 예정대로 베트남 방문 일정을 진행한다는 베트남 외교부의 발표도 같은 방향을 가리킨다.

더구나 김 위원장은 지난해 4월20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전원회의에서 ‘경제·핵 건설 병진노선’ 종료를 선언하고 “경제 집중”을 새 전략노선으로 채택한 터라, 급격한 방향 전환은 자칫 ‘리더십 훼손’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다. <노동신문> 등을 통해 “애국헌신의 대장정”이라 대대적으로 선전해온 ‘하노이행’의 알짬인 북-미 정상회담 ‘결렬’을 권력층과 인민의 동요를 막으며 내부적으로 소화하는 일이 당장 꺼야 할 ‘급한 불’이다.

다만 김 위원장은 올해 신년사에서 “미국이 일방적으로 제재와 압박에로 나간다면 부득불 새로운 길을 모색하지 않을 수 없게 될 수도 있다”고 ‘다른 선택’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았다. 외교 소식통은 “결렬 상황을 갈무리할 북-미 추가 협상의 조기 성사 여부가 중요하다”고 짚었다.

김 위원장은 ‘선택지’를 가다듬는 과정에서 “언제나 두 손을 굳게 잡고 함께하겠다”(2018년 9·19 평양 정상회담)고 다짐한 문재인 대통령, “한 참모부”(2018년 6월 3차 방중)를 선언한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등과 공개·비공개리에 긴밀히 협의하리라는 전망이 많다. 소식통은 “김 위원장이 귀로에 시 주석을 만날지도 지켜볼 일”이라고 말했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평화를 위해 당당한 목소리가 필요합니다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1.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2.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3.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4.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5.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