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연철 통일부 장관 후보자가 8일 오후 서울 종로구 삼청동 남북회담본부에서 기자회견을 하기 전 통일부 관계자들과 인사를 하고 있다.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김연철(55)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임동원·이종석 전 통일부 장관의 계보를 잇는 대표적 ‘협상론자’다. 김 후보자는 ‘남북관계 개선이 비핵화를 포함한 한반도 평화 과정을 촉진·견인할 수 있다’고 본다. 2018년 평창 겨울올림픽 이후 정세의 핵심을 “한반도 평화 과정”으로 이해한다. ‘북한 비핵화’에만 초점을 맞추지 않는다. 비핵화를 한반도 냉전 구조 해체 과정의 부분집합으로 여기는 문재인 대통령의 인식과 맞닿아 있다. 남북정상회담 준비위원회 자문위원으로 활동해온 문 대통령의 ‘숨은 브레인’이다.
김 후보자의 임무는, 문 대통령이 4일 국가안전보장회의(NSC)에서 내놓은 “제재의 틀 내에서 남북관계 발전 방안을 최대한 찾아, 속도감 있게 준비해주길 바란다”는 주문에 담겨 있다. 당면 핵심 과제는, 미국과 협의할 “금강산관광과 개성공단 재개 방안”(문 대통령 3·1운동 100년 기념사)을 “최대한, 속도감 있게” 마련·현실화하는 일이다. 그래야 북한의 ‘궤도 이탈’을 막고, 한반도 평화 과정에서 남북관계의 몫을 키울 수 있어서다. 김 후보자는 8일 남북회담본부에서 기자들을 만나 “노력하겠다”고 짧게 답했다. 이어 “(하노이 회담 이후) 협상 재개의 창의적 해법 마련”과 “신한반도체제 실현을 위한 최선의 노력”을 다짐했다.
김 후보자는 학계·경제계(삼성경제연구소 북한연구팀 수석연구위원)·언론계(한겨레평화연구소장)·관계(통일부 장관 정책보좌관)에서 다양한 현장 경험을 쌓았다. <협상의 전략> <70년의 대화> 등 스테디셀러 저술가다. 정통관료 출신인 조명균 통일부 장관이 ‘안정’을 중시하며 ‘때’를 기다리는 쪽이라면, 노마드적 기질이 강한 김 후보자는 ‘때’를 만드는 쪽을 선호한다. 김의겸 청와대 대변인은 “남북공동선언을 속도감 있게 추진해 새로운 평화협력공동체 실현을 위한 ‘신한반도체제 구상’을 적극적으로 구현해나갈 적임자”라고 설명했다.
△북평고(강원도 동해시) △성균관대(정치외교학) △인제대 교수(통일학부) △통일연구원장
이제훈 선임기자, 노지원 기자
noma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