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이 22일 철수한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의 모습. 통일부는 24일 남쪽 인원 25명이 연락사무소에 출근해 정상근무하고 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
북한 쪽의 개성 남북공동연락사무소(공동사무소) 인원 철수에도 “남쪽 인원 25명은 주말에도 정상 근무하고 있다”고 24일 통일부가 밝혔다. 통일부는 주말에 근무한 25명에 더해 월요일인 25일 아침엔 54명을 공동사무소 근무 인력으로 추가 투입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해 북쪽은 군 통신선으로 남쪽이 통보한 ‘25일 아침 54명 출경(군사분계선 통과 방북) 명단’을 별말 없이 접수한 것으로 전해졌다. 22일 북쪽 인력 철수 때 밝힌 “남쪽 사무소의 잔류는 상관하지 않겠다”는 다짐대로 남쪽의 공동사무소 운영은 협조·지원하고 있는 셈이다. 다만, 공동사무소는 남쪽만 근무하는 ‘반쪽 운영’ 상황이 당분간 지속될 가능성이 있어 보인다.
통일부는 24일 천해성 차관 주재로 김창수 공동사무소 남쪽 사무처장 겸 부소장과 본부 주요 국·실장들이 참석한 가운데 23일에 이어 이틀째 ‘상황점검회의’를 했다. 통일부 당국자는 “개성 공동사무소 쪽과 수시로 연락을 주고받고 있다”며 “안전과 관련해 이상은 없다”고 전했다.
북쪽은 22일 급작스럽게 인원 철수를 통보한 뒤 추가 행동을 하지 않고 있다. 대신 북쪽은 남쪽의 공동사무소 운영은 협조·지원하고 있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쪽 인원 철수로 공백이 생긴) 우리 쪽 인원의 개성 공동사무소 체류·출입 관련 협조 사항은 개성공단 업무를 담당한 중앙특구개발지도총국(총국)이 앞으로 맡는다고 북쪽이 통보해왔다”고 전했다. 이 당국자는 “22일 오후 남쪽 인원 44명의 입경(군사분계선 통과 남쪽 귀경) 지원도 총국이 했다”고 덧붙였다. 북쪽이 22일 밝힌 “실무적 문제는 차후 통지”와 관련해 ‘총국’을 공동사무소 남쪽 근무자들의 ‘임시 소통 창구’로 지정한 셈이다.
이와 함께 남쪽이 25일 출경을 통보한 김창수 사무처장 등 54명 명단을 군 통신선을 통해 북쪽이 접수한 사실은 ‘남쪽만의 공동사무소 운영’을 적어도 당분간은 보장하겠다는 메시지로 풀이된다. 통일부 당국자는 “북쪽 관계기관과 협의가 마무리돼 25일 출경은 정상적으로 진행할 예정”이라고 말했다. 54명이 출경하면 이번주 공동사무소 남쪽 근무 인력은 지난주(69명)보다 10명 많은 79명(공동사무소 직원 21명, 지원인력 58명)이 된다. 정부 당국자는 “남북 군 통신선을 정상 작동하고 있다”고 전했다. ‘지원인력’은 식당·숙박, 전기·수도 등 시설 운영과 관련한 현대아산·케이티(KT)·개성공업지구지원재단 등의 인원이다.
한편, 김연철 통일부 장관 후보자는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에 제출한 인사청문회 서면질의 답변서에서 북쪽의 철수 통보에 “유감”의 뜻을 밝히고는 “장관에 취임한다면, 우선 공동연락사무소를 조속히 정상화해 남북 간 신뢰 구축과 지속가능한 남북관계를 정착시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김 후보자는 “나아가 공동연락사무소를 통한 남북 간 소통을 더욱 활성화하고 연락사무소의 기능을 확대·발전시켜나가기 위한 방안도 모색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