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광고

광고닫기

광고

본문

광고

정치 국방·북한

“비무장지대 장병 순찰로, ‘생태평화 DMZ 트레일’로 활용을”

등록 2019-06-17 13:41

서재철 녹색연합 전문위원

“한반도 허리 가르는 생태축
평화협정 뒤 보존 방안 없고
땅투기·막개발 광풍 우려돼”

독일 ‘분단현장’ 보존실패 교훈
장기적 안목 ‘문화유산화’ 강조
“비무장지대에 막개발 광풍이 불까봐, 평화협정 체결 이후가 걱정입니다.”

서재철 녹색연합 전문위원은 상반기 남북관계가 교착상태라서 너무 먼 이야기같지만, 평화협정 체결 이후 비무장지대(DMZ)에서 벌어질 일을 대비해야 한다”고 말했다. 서 전문위원은 정부 관련 부처에 알아보니, 평화협정 뒤 각 분야별로 예상 가능한 상황에 대처할 시나리오가 없었다고 전했다. 그는 지난 14일 오후 한겨레통일문화재단이 강원 `철원 DMZ생태평화공원‘에서 개최한 `한겨레평화포럼-DMZ 평화적 이용 모색’ 강연에서 이렇게 말했다.

서재철 녹색연합 전문위원이 지난 14일 오후 한겨레통일화재단이 강원 `철원 DMZ생태평화공원‘에서 개최한 `한겨레평화포럼-DMZ 평화적 이용 모색’ 에서 강연하고 있다.
서재철 녹색연합 전문위원이 지난 14일 오후 한겨레통일화재단이 강원 `철원 DMZ생태평화공원‘에서 개최한 `한겨레평화포럼-DMZ 평화적 이용 모색’ 에서 강연하고 있다.
서 위원의 설명을 들어보면, 앞으로 남북간 군사적 신뢰가 쌓이고 군비통제가 본격화되면 휴전선 근처에 밀집한 남북 공격전력의 후방 배치가 이뤄질 수 있다. 이 경우 군 부재 주둔지의 생태 환경복원, 민통선 이북 지역 공간 재배치 같은 후속 조처가 필요하다. 또 일제시대 땅 문서를 근거로 비무장지대 토지 소유권자들이 `내 땅을 돌려달라’는 소송을 무더기로 낼 수도 있다.

그는 비무장지대, 민간인통제선(민통선) 일대에서 땅 투기, 막개발을 막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런데 정부, 공공기관이 이를 부추기는 경우도 있다고 지적했다. 지난해부터 중앙정부, 국책연구소, 지방정부에서 비무장지대를 개발하는 온갖 구상을 쏟아내고 있는데 `대규모 시설이나 공단을 만들겠다‘는 개발에 치우친 계획도 일부 있다고 했다. 서 위원은 비무장지대는 한반도 허리를 가르는 생태축으로 더 이상 축소와 훼손은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비무장지대의 미래를 생각할 때 독일의 경험을 깊이 살펴야 한다고 주장했다. 동·서독 분단 당시 경계선이 1400㎞나 됐지만 1989년 11월 베를린 장벽이 무너진 뒤 지금은 그 흔적을 거의 찾아 볼 수 없다. 독일은 베를린 장벽이 무너지고 몇년 사이에 철조망과 군사시설을 대부분 걷어냈다.

독일은 동·서독 경계선이 20세기 냉전의 현장으로 세계사적 의미가 큰 문화유산임을 뒤늦게 깨닫고, 없애버린 것을 후회하고 있다. 서 위원은 “독일 사람들은 냉전체제가 무너지고 통일이 그렇게 빨리 될 것을 전혀 예상하지 못해서 동·서독 경계선의 보전과 이용계획을 준비못했다. 우리는 긴 안목으로 비무장지대 보전과 관리 계획을 미리 세워둬야 한다”고 말했다.

남방한계선을 따라 이어진 철책선은 두겹의 이중 철책선으로 되어 있다. 철책선 바로 뒤로 순찰로가 이어져 있다. 서재철 위원 제공
남방한계선을 따라 이어진 철책선은 두겹의 이중 철책선으로 되어 있다. 철책선 바로 뒤로 순찰로가 이어져 있다. 서재철 위원 제공
그는 구체적으로 `냉전의 길(장병 순찰로)’을 `DMZ 트레일’로 바꾸자고 제안했다. 비무장지대에는 남방한계선을 따라 동서 248㎞의 이중 철책선이 있고, 철책선 바로 뒤로 장병 순찰로가 있다. 1953년 7월 휴전 이후 지금까지 하루도 쉬지 않고 중무장한 국군 장병들이 이 길을 따라 순찰을 하고 있다. 이 길은 분단과 냉전의 역사 현장이다. 서 위원은 “비무장지대에 얼마나 많은 지뢰가 어디에 묻혀 있는지를 아무도 모른다. 이 순찰로를 그대로 활용하는 것이 가장 현실적이면서 안전한 비무장지대 활용 방안”이라고 설명했다. 철원/글·사진 권혁철 한겨레평화연구소장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
평화를 위해 당당한 목소리가 필요합니다
한겨레와 함께해주세요

광고

광고

광고

정치 많이 보는 기사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1.

‘부정선거 전도사’ 황교안, 윤 대리인으로 헌재서 또 ‘형상기억종이’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2.

선관위 “선거망 처음부터 외부와 분리” 국정원 전 차장 주장 반박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3.

오세훈, ‘명태균 특검법’ 수사대상 거론되자 ‘검찰 수사’ 재촉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4.

이재명 “국힘, 어떻게 하면 야당 헐뜯을까 생각밖에 없어”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5.

이재명, 내일 김경수 만난다…김부겸·임종석도 곧 만날 듯

한겨레와 친구하기

1/ 2/ 3


서비스 전체보기

전체
정치
사회
전국
경제
국제
문화
스포츠
미래과학
애니멀피플
기후변화&
휴심정
오피니언
만화 | ESC | 한겨레S | 연재 | 이슈 | 함께하는교육 | HERI 이슈 | 서울&
포토
한겨레TV
뉴스서비스
매거진

맨위로
뉴스레터, 올해 가장 잘한 일 구독신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