니콜라이 마르첸코 러시아 공군 무관이 25일 오전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로 들어오고 있다. 국방부는 이날 러시아 군용기의 독도 영공 침범과 관련해 러시아와 실무협의를 했다. 백소아 기자 thanks@hani.co.kr
지난 23일 발생한 러시아 군용기의 독도 영공 침범 사건과 관련해 러시아 정부가 “한국 영공을 침범하지 않았다”고 주장하고 있는 가운데, 25일 국방부가 주한러시아대사관 관계자와 실무협의를 열어 러시아 쪽에 증거 자료를 제시했다.
국방부는 “25일 오전 이원익 국방부 국제정책관 주관으로 러시아 군용기가 우리 독도 영공을 침범한 문제와 관련해 주한 러시아 무관부(무관 대리 공군 대령 마르첸코 등)와 실무협의를 개최했다”고 발표했다. 국방부는 이날 실무협의를 통해 러시아 A-50 조기경보통제기의 한국 영공 침범 사실을 확인해주는 증거 자료를 제공하고 관련 내용을 상세히 설명했다고 밝혔다. “러시아 쪽은 동 자료를 진행 중인 조사에 적극 참고할 수 있도록 러시아 국방부에 즉시 송부하겠다고 했다”고 국방부는 설명했다. 실무협의는 러시아어 통역으로 이뤄졌으며 1시간30분 가까이 진행됐다.
이날 국방부가 실무협의에서 주한 러시아 무관부 쪽에서 제공한 자료에는 러 군용기가 독도 영공를 통과했다는 사실을 보여주는 비행 궤적을 비롯해 영공 침범 시간, 위치 등 정보가 포함됐다. 정부 당국자는 “이번 협의의 목적은 러시아 정부가 관련 조사를 정확히 할 수 있도록 자료를 주기 위한 것”이라며 “(자료를 받아본 러시아 무관부 쪽에서) 상세히 묻고 상세히 대답했으며 (러시아 정부에서) 조사하는 데 참고할 수 있도록 빨리 보내겠다고 했다”고 설명했다.
러시아 정부는 관련 조사를 마친 뒤 정해진 절차에 따라 공식 입장을 한국에 전달할 것으로 보인다. 한국 정부가 진상 규명이 추가적으로 필요하다고 판단할 경우 주한러시아대사관이 아닌 모스크바에 있는 러시아 국방부 본부와 직접 협의할 가능성도 있다. 러시아 정부의 조사가 마무리되면 한국 정부는 한-러 국방부, 공군 간 협의 채널을 통해 재발 방지 대책을 논의할 예정이다.
노지원 기자
zon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