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4일(현지시각) 취임 뒤 처음으로 국무부 청사를 찾아 외교정책에 관한 연설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문재인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의 4일 ‘정상 통화’와 관련한 백악관 발표문에 “the Democratic People’s Republic of Korea”(DPRK·디피아르케이)라는 이례적 표현이 쓰여 눈길을 끈다. ‘디피아르케이’는 북한의 공식 국호인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영문 약칭이다.
북-미 관계에서 미국 정부가 디피아르케이를 쓴 사례는 ‘제네바기본합의’(1994년 10월21일)가 처음이고,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도널드 트럼프 전 미 대통령의 정상회담 합의문인 ‘싱가포르 공동성명’(2018년 6월12일) 등 손으로 꼽을 만큼 적다. 역대 미국 정부는 “North Korea”(북한)라고 부를 때가 많았고, 이따금 ‘깡패국가’ ‘악의 축’이란 비유적 표현을 쓰기도 했다.
북-미 관계는 ‘무시하려는 미국’을 상대로 한 북한의 처절한 인정투쟁의 역사인 까닭에, 북한은 미국 정부의 ‘말’에 아주 민감하다. ‘바이든 백악관’이 “두 정상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과 관련해 긴밀하게 조율하기로 합의했다”며 ‘북한’이 아닌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이라 적은 게 범상치 않은 이유다. 세 문장짜리 발표문에 북한을 공격·비난하는 표현은 없다.
지난달 28일 미-일 정상 통화와 관련한 백악관 발표문의 “complete denuclearization of the Koerean Peninsula”(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란 문구는 더 의미심장하다. ‘싱가포르 공동성명’의 관련 문구와 똑같다. 역대 미국 정부가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불가역적인 비핵화’를 뜻하는 ‘시브이아이디’(CVID)를 사실상 공식 용어로 써온 데 비춰, ‘바이든 백악관’이 “완전한 비핵화”를 ‘일부러 골라’ 썼다고 볼 여지가 있다. ‘에이비티’(ABT·anything but Trump, 트럼프 정책은 빼고)를 지향하는 ‘바이든 백악관’이 민감한 외교 사안에서 ‘트럼프 용어’를 회피하지 않은 사실은 그 자체로 ‘대북 신호’로 볼 수 있다.
여러 전직 고위관계자는 5일 “매우 흥미롭고 주목할 만한 일”이라며 “가장 낮춰 봐도 대북정책 재검토가 끝날 때까진 ‘말의 전쟁’을 피하겠다는 정책 의지의 표현”이라고 짚었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