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인영 통일부 장관(오른쪽)이 2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종걸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대표상임의장을 만나 이야기를 나누고 있다. 연합뉴스
이인영 통일부 장관은 민간 차원의 남북 인도주의 협력 재개 여론과 관련해 “그런 방향으로 검토해보겠다”고 22일 밝혔다.
이 장관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이종걸 민족화해협력범국민협의회 대표상임의장과 만나 "민간 차원의 인도주의 협력 지원에 대해 이제는 재개했으면 좋겠다는 희망을 피력하신 데 대해 정부도 원칙적으로 공감하고 그런 방향에 대해 검토해보겠다"고 말했다. 이종걸 의장이 “북한이 꼭 필요로 하는 분야에서의 인도적 지원이 민간 차원에서는 좀 적극적으로 이뤄져야 한다"고 하자 나온 반응이다.
이는 민간의 대북 인도주의 협력 목적의 물자 반출을 통일부가 조만간 승인하겠다는 정책 조정의 신호로 읽힌다. 지난해 9월21일 서해 북방한계선(NLL) 인근 해역에서 해양수산부 소속 어업지도원이 북한군에 피격돼 사망하자, 정부는 지금껏 ‘민간의 자율적 속도 조절’을 명분으로 대북 물자 반출 승인을 미뤄왔다.
이종주 통일부 대변인도 이날 정례 기자회견에서 “(남북) 인도적 협력 수요가 계속 증대되고 있다는 게 민간 쪽의 판단인데, 민간 쪽의 의견을 충분히 들어가며 반출 승인 재개 문제를 검토해나가겠다”며 ‘반출 승인 재개’ 쪽에 무게를 실었다. 이 대변인은 “북한의 인도적 지원 수요, (장기 폐쇄 상태인) 북중 국경 동향, 민간 단체의 의견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하며 반출 승인 재개 문제를 검토하겠다”고 덧붙였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