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원 "98년이후 위폐여부 아는 바 없어"
정부는 북한의 위폐 문제에 대해 심각한 우려를 갖고 정밀 추적 중이라고 국가정보원이 2일 밝혔다.
국정원은 이날 김승규 국정원장이 출석한 가운데 국회에서 열린 국회 정보위 전체회의에서 현안보고를 통해 "정부는 98년까지는 북한이 위폐를 유통한 적이 있다는 점을 알고 있다"며 이같이 말했다고 국정원 관계자가 전했다. 이 관계자는 "그러나 회의에서는 북한이 최근에도 위폐를 만드는 지에 관한 증거가 있는지에 대해서는 특별한 언급은 없었다"고 덧붙였다.
열린우리당 간사인 임종인 의원도 회의 직후 가진 브리핑을 통해 "북한의 위폐제조와 관련, 98년에 위폐를 사용하다 해외에서 검거된 적이 있다는 보고가 있었다"면서 "국정원은 그러나 98년 이후로는 북한이 위폐를 제조해 유통하고 있는 지에 대해서는 아는 바가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이와 관련, 야당의 한 정보위원은 "국정원은 94,96,98년도에는 북한 외교관이나 권력자들이 위폐를 유통시켰다는 증거를 제시했다"며 "그러나 북한이 최근에 위폐를 제조, 유통했다는 증거는 제시되지 않았다"고 말했다.
회의에서는 북한의 위폐제조 여부와 관련한 최근 정보가 제시되지 않은 점을 두고 국정원의 정보력 부재를 질타하는 목소리와 미국이 증거도 없이 북한이 위폐를 만든다고 밀어붙이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나오는 등 다소 논란을 빚은 것으로 알려졌다.
국정원은 북한 정세와 관련, 김정일 국방위원장의 매제인 장성택 노동당 제1부부장이 당 중앙위 제1 부부장으로 복권됐음이 공식 확인됐다고 밝히고, 지난해 북한의 대중국 무역총액은 15억8천만달러로 이전 해에 비해 14%가 늘어나 최초로 15억 달러를 넘어섰다고 보고했다.
한편 한나라당 정형근 의원은 질의를 통해 "미얀마에 수감 중인 아웅산 폭파 테러범이 우리 나라로 송환을 원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며 송환대책 검토 필요성을 지적했으며, 국정원은 이에 대해 "현지 상황을 파악해서 조치하겠다"고 말했다고 국정원측은 전했다. 김남권 기자 south@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