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가 11일 당중앙위 본부청사에서 당중앙군사위원회 확대회의를 ‘지도’했다고 <노동신문>과 <조선중앙통신>이 12일 보도했다. <조선중앙통신> 연합뉴스
김정은 조선노동당 총비서는 “인민군대가 고도의 격동 태세를 철저히 견지해야 한다고 강조하셨다”고 12일 <노동신문>이 1면 머리기사로 보도했다.
김정은 총비서는 11일 노동당 중앙위원회 본부청사에서 열린 당중앙군사위원회 8기2차 확대회의에서 “인민군대가 항구적으로 틀어쥐고 나가야 할 전략적 과업과 혁명무력의 강화발전을 위한 방도들을 밝히셨다”며 <노동신문>이 이렇게 전했다.
회의에서는 “최근 급변하는 조선반도 주변 정세와 우리 혁명의 대내외적 환경의 요구에 맞게 혁명무력의 전투력을 더욱 높이고 국가방위사업 전반에서 새로운 전환을 일으키기 위한 중요한 과업들이 제시되었으며 조직문제가 토의됐다”고 <노동신문>은 전했다.
다만, 신문은 김 총비서가 밝혔다는 “전략적 과업”과 “혁명무력 강화발전 방도”의 구체적 내용은 전하지 않았다.
당중앙군사위 회의는 지난 2월24일 8기1차 확대회의 이후 108일 만이자, “한·미 미사일지침 종료” 등을 발표한 지난 5월21일 한-미 정상회담 이후 20여일 만이다. 지난 2월 당중앙군사위 회의는 노동당 중앙위 8기2차 전원회의(2월9~11일) 개최 13일 뒤에 열렸는데, “6월 상순 소집”을 예고한 당중앙위 8기3차 전원회의 개최 여부는 아직 확인되지 않고 있다.
앞서 북한 <조선중앙통신>은 한·미 정상회담 열흘 뒤인 5월31일 “미국이 남조선의 미싸일 ‘족쇄’를 풀어준 목적은 조선반도와 주변지역에서 군비경쟁을 더욱 조장해 우리의 발전을 저해하려는데 있다”는 주장을 편 “국제문제평론가 김명철”의 글을 실었다. 이 글은 한·미 정상회담에 대한 북의 ‘첫 공개 반응’인데, 인민들이 읽는 <노동신문>에는 실리지 않았고, 당·정 고위인사나 외무성 명의의 담화 형식이 아니어서 ‘공식 반응’으로 간주하기엔 무리라는 평가가 많았다.
한편, <노동신문>은 “확대회의에서는 일부 군종, 군단급 단위 지휘관들을 해임 및 조동하고 새로 임명할데 대한 조직문제가 취급됐다”고 보도했으나, 인사의 구체 내용은 공개하지 않았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