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진 외교부 장관 후보자는 18일 아침 서울 종로구 내수동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첫 출근하다 기자들을 만나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는 그 취지에도 불구하고 한계를 드러냈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박진 외교부 장관 후보자는 18일 “지금의 유화 정책만으로는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을 막을 수 없다”며 “북한에 대해서 실질적인 정책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박진 후보자는 이날 아침 서울 종로구 내수동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첫 출근하다 기자들을 만나 “(문재인 정부의) 한반도 평화 프로세스는 그 취지에도 불구하고 한계를 드러냈다고 생각한다”며 이렇게 말했다.
박 후보자는 북한의 ‘신형전술유도무기 시험발사’ 발표를 거론하며 “북한이 이렇게 한반도 안보 (위기) 상황을 고조시키는 것은 한반도 안보와 평화와 안정에 역행하는 일”이라고 비판했다. 이어 “윤석열 정부는 북한에 대해 상식이 통하는 균형 있는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며 “압박과 설득으로 정책의 일관성을 유지하며 북한의 비핵화와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노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후보자는 “아직 한-미 정상회담의 일정이나 의제는 확정된 것이 없다”면서도 “한반도 상황이 엄중하고 국제정세가 급변하고 있기 때문에 조기에 한-미 정상회담을 할 필요성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북한의 위협에 대응할 긴밀한 공조 방안 마련 △글로벌 공급망 재편과 관련한 경제안보와 기술동맹 추진 △기후변화·코로나19 대응 등 글로벌 파트너십 추진 △우크라이나 민주주의·평화·독립을 위한 공동 노력 등을 한·미의 협력 과제로 꼽았다.
박 후보자는 미국·일본·오스트레일리아·인도 4개국 협의체인 ‘쿼드(Quad)’ 참여와 관련해 “쿼드는 민주주의국가 간 모임이고 인도·태평양의 평화와 번영에 기여하는 협의체”라며 “한국이 쿼드의 정식 회원은 아니지만 우리가 강점을 가진 선도적 분야에서 쿼드와 같은 협력을 확대해나가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이어 “특히 쿼드 워킹그룹을 통해서 코로나19나 기후변화 그리고 신흥기술 분야에서 한국의 참여 범위를 점차 확대해 가는 것을 모색하는 게 필요하다”고 덧붙였다.
박진 외교부 장관 후보자는 18일 아침 서울 종로구 내수동에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첫 출근하다 기자들을 만나 “지금의 유화 정책만으로는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을 막을 수 없다”며 “북한에 대해서 실질적인 정책의 변화가 필요한 시점”이라고 밝혔다. 연합뉴스
박 후보자는 ‘한-중 관계를 어떻게 풀어가려 하냐’는 질문에 “중국은 우리의 중요한 파트너다. 경제통상은 물론이고 문화교류에서도 중국은 우리의 중요한 상대국이다. 전략소통이라는 면에서도 중요한 나라”라며 “중국과 고위급 전략적 소통을 해나갈 것”이라고 답했다.
이어 한-일 관계와 관련해선 “한국과 일본은 민주주의와 시장경제를 공유하고 있고 동북아시아의 평화와 안정, 특히 한반도의 평화와 안정을 위해 협력해야 할 부분이 많다”며 “미국과는 공통의 동맹을 맺고 있기 때문에 이렇게 계속 양국관계가 침체하고 불편하면 양쪽이 모두 손해”라고 짚었다.
이제훈 선임기자
nomad@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