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5일 중국이 동북공정 신간을 통해 발해를 당(唐)의 지방정권이라고 주장하는 등 고대사를 왜곡한 데 대해 고구려사 연구재단 등 학술단체의 검토결과가 나오는 대로 외교적 대응을 해나갈 방침인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고구려사의 경우 우리 역사에서 가장 자랑스러운 부분 중 하나이고 민족의 정체성과 관련된 중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그동안 외교적으로나 학술적으로 적극적인 대응을 해온 기조에 따라 이번에도 같은 대응을 할 것으로 전해졌다.
이에 따라 학술단체의 검토결과가 나온 뒤 정부의 대응조치 내용이 정해질 것으로 보인다.
정부는 다만 역사관련 문제가 국민정서를 자극할 수 있다는 점을 감안해 신중한 대응기조를 유지할 것으로 알려졌다.
정부는 이른바 `동북공정' 문제가 발생한 2004년부터 중국측에 고구려사 왜곡 내용에 대한 시정을 강력히 요청했고 실제로 많은 성과를 얻었으며 학술적으로도 `고구려사 연구재단'을 2004년 4월 발족시켜 꾸준한 연구를 진행해왔다.
정부는 일본의 역사교과서 왜곡, 중국의 고구려사 편입시도인 ‘동북공정’등에 대한 범정부 차원의 종합 대책을 마련하라는 노무현 대통령의 지시에 따라 `동북아역사재단'을 설립키로 했으며 지난 5월 국회에서 설치 법안이 통과됨에 따라 2006년 9월 1일자로 동북아역사재단 초대 이사장에 서울대학교 김용덕(金容德) 교수를 임명했다.
동북아역사재단이 출범함에 따라 고구려사 연구재단은 해산됐다.
한편, 2002년부터 본격적인 동북공정을 추진해 온 중국 사회과학원 변강사지(邊疆史地)연구센터는 최근 웹사이트에 `발해국사' 등 동북지방의 역사를 정리한 과제논문 18편의 내용을 요약본으로 올려놨다.
서동희 기자 dhsuh519@yna.co.kr (서울=연합뉴스)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