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제재 오해 해명” “대북제재 사전설명” 분석 나와
노무현 대통령이 유럽 순방을 마치고 조지 부시 미국 대통령과의 정상회담을 위해 12일 오후(현지시각) 워싱턴에 도착했다.
오는 15일까지 미국을 실무방문하는 노 대통령은 14일 오전 백악관에서 열리는 부시 대통령과의 한-미 정상회담에서 북한의 미사일 발사 실험과 핵 문제, 전시 작전통제권 환수를 비롯한 한-미 동맹 관계 재조정, 한-미 자유무역협정(FTA) 등 현안에 대해 의견을 교환할 예정이다.
노 대통령을 수행 중인 송민순 청와대 안보정책실장은 “이번 정상회담에서 두 정상은 한-미 두 나라가 공동으로 지향하는 동맹의 미래에 대한 비전과 함께 북핵 문제의 해결을 위해 어떻게 공동 노력할 것인지를 주요하게 협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 실장은 미국이 유엔총회를 계기로 북핵문제의 의견교환을 위한 다자협의를 제안한 것을 놓고 6자회담을 대체하는 것 아닌가라는 의문이 제기되고 있는데 대해 “6자 회담을 무력화시켜서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는 6자 회담 참가국은 아무도 없을 것”이라고 밝혔다.
한 고위당국자는 전작권 문제에 대해선 “국내적으로 상당한 이슈가 되고 있기 때문에 두 정상간에 논의는 될 것”이라면서도 “양국이 동맹을 통해 지향하고자 하는 공동 비전이 무엇인가라는 틀에서 논의하지, 시기 등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두 정상은 회담 직후 백악관 오벌오피스에서 두 나라 기자단이 선정한 몇몇 기자들과 언론회동 형식으로 회담의 합의사항 또는 양 정상의 공통된 인식 내용을 발표할 예정이다.
이번 방미에서 미국쪽의 요청으로 13일 헨리 폴슨 재무장관의 대통령 면담이 잡혀있는 것과 관련해서는 노 대통령이 선참후계(잘잘못을 따지기에 앞서 먼저 벌을 줌)라면서 미국의 대북 금융제재에 부정적인 입장을 표명했기 때문에 금융제재를 담당하는 주무부서의 장관으로서 오해를 불식시키기 해명하려는 게 아닌가라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그러나 다른 한편에서는 미국이 안보리 결의에 따른 대북제재에 나서기에 앞서 사전설명하는 자리라는 분석도 있다.
정부 당국자는 “폴슨 장관과의 접견에서 노 대통령은 한국의 안보상황과 경제 여건 등에 대해 설명하고, 미국에서 보는 시각을 듣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워싱턴/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