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떼쓰다 출국한 ‘극우 3인방’=일본 자민당의 신도 요시타카(앞쪽 가운데) 중의원과 사토 마사히사(왼쪽) 참의원, 이나다 도모미(오른쪽) 중의원이 9시간 동안 송환을 거부하며 김포공항 대기실에 체류하다가 저녁 8시10분발 전일본공수(ANA) 항공편으로 김포공항을 떠나기 위해 출국장으로 가고 있다.공동취재사진
신도·이나다·사토 자민당 의원들 3명
출국거부하다 돌아가 “다시 방한하겠다”
출국거부하다 돌아가 “다시 방한하겠다”
울릉도를 가보겠다는 일본 자민당 의원들이 1일 입국을 거부당하자 김포공항에서 9시간 넘게 농성을 벌이며 항의하는 소동을 벌였다. 일본 정부도 이 와중에 한국 정부의 입국 불허 조처를 “받아들일 수 없다”며 항의했다. 독도 영유권을 내세운 일본 극우 정치인들의 무례한 도발이라는 비난이 빗발쳤다.
신도 요시타카, 이나다 도모미 중의원, 사토 마사히사 참의원 등 자민당 소속 의원 3명은 이날 오전 10시59분께 김포공항에 도착했다. 하네다공항에서 일장기를 흔드는 지지자 10여명의 환송을 받으며 전일본공수(ANA) 1161편에 오른 지 2시간여 만이다. 비행기에서 내린 뒤 이들은 기다리고 있던 기자들 앞에 섰다. 신도 의원은 방한 목적으로 “울릉도를 보고 싶다”고 말했다. 독도에 대해선 “다케시마는 일본 영토이다. 그래도 한-일 간에 의견차가 있기 때문에 입장 차이를 이야기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들이 입국할 즈음 밖에서는 반대 시위가 한창이었다. 1시간 전부터 모여든 독도지킴이범국민연합운동본부, 해병대전우회 등 30여 단체 700여명은 김포공항 주차장에서 ‘일본 독도만행 범국민 규탄대회’를 열었다. 청사 입국장 앞에도 50여명이 모여 ‘침략 야욕, 자민당 의원 입국 결사반대’ 등이 쓰인 펼침막을 들고 “독도 수호” 등의 구호를 외쳤다.
출입국사무소 관계자들은 이들을 임시 대기실로 안내한 뒤 입국 불허 방침을 통보했다. ‘대한민국의 이익이나 공공의 안전을 해치는 행동을 할 염려가 있다고 인정할 만한 상당한 이유가 있는 사람의 경우 입국을 금할 수 있다’는 출입국관리법 규정에 따른 것이었다.
“받아들일 수 없다”며 출국을 거부한 신도 의원 등은 오후 1시께 일본 기자들을 만나 “우리가 테러리스트도 아니고 무슨 근거로 국경 안전을 해친단 말인가”라고 불만을 표출했다. 오후 3시께는 대기실에서 비빔밥으로 늦은 점심을 먹으며 ‘장기 농성’에 대비하는 듯한 모습을 보였다.
일본 외무성도 거들었다. 마쓰모토 다케아키 외상은 신각수 주일 대사를 불러 항의와 유감의 뜻을 전했다. 마쓰모토 외상은 12일로 예정된 한국 국회 독도특위의 독도 회의 개최 중단도 요구했다. 에다노 유키오 관방장관도 기자회견을 열어 “(이들이) 합법적인 절차를 거쳐 가려 했다”며 “한-일 간의 우호관계를 고려할 때 유감스럽다”고 지원 사격을 했다.
비슷한 시각, 서울 세종로 외교청사에서는 외교부 당국자가 기자들과 만나 “불순한 정치적 목적을 가지고 왔기 때문에 우리가 취해야 할 마땅한 조처를 취한 것”이라고 단호한 태도를 밝혔다. 그는 “일본 야당 의원의 돌출행동이기 때문에 너무 큰 의미를 부여하는 것은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덧붙였다.
신도 의원 일행의 공항 소동은 저녁 8시10분께 끝이 났다. 출입국관리사무소가 무토 마사토시 주한 일본대사를 통해 “마지막 비행기로 돌아가지 않으면 불법체류자들과 대기실을 같이 써야 할 수 있다”고 최후통첩을 하자 귀국하기로 한 것이다. 출입국관리소는 “신도 의원이 ‘8시10분 비행기로 귀국하겠다’고 알려왔다”며 “신도 의원 쪽이 떠나며 ‘(폐를 끼쳐) 미안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하지만 이날 밤 10시15분께 도쿄 하네다공항에 도착한 이들은 기자들을 만나 “뚜렷한 근거도 없이 출입국관리법을 인접국 국회의원인 우리에게 적용한 것은 이해할 수 없다. 이는 양국간에 외교 문제가 될 것”이라며 “다시 방한하겠다”는 결기를 내세웠다.
이승준 기자, 도쿄/정남구 특파원 gamja@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