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일 지식인 공동성명’ 1주년 서울회의서 재확인
남북 공동토론회도 “일본 독도야욕, 민족주권 침해”
남북 공동토론회도 “일본 독도야욕, 민족주권 침해”
1910년 체결된 한-일병합조약은 ‘원천 무효’라는 내용의 ‘한국병합 100년 한·일 지식인 공동성명’을 지난해 5월10일 발표했던 한·일 지식인들이 한국병합이 강요된 ‘경술국치’ 101년을 맞은 29일 다시 서울에 모였다.
지난해 공동성명은 침략국과 피침략국의 지식인들이 일제 식민지배의 법적 근거 자체가 무효라는 데 한목소리를 낸 기념비적 선언으로 평가된다. 발표 당일 한국 109명, 일본 105명이 참여했던 공동성명은 이후 양국 지식인들의 동참이 이어지며 최종적으로 한국 590명, 일본 540명이 서명했다. 그 의미를 기리고 발전적으로 후속 논의를 끌어가기 위해 ‘일본의 한국병합조약 무효 한·일 지식인 공동성명 1주년 서울회의’가 이날 열린 것이다.
서울 동북아재단 대회의실에서 열린 이날 회의에 한국에선 김영호 단국대 석좌교수와 백낙청·이태진 서울대 명예교수 등이, 일본에선 와다 하루키 도쿄대 명예교수와 나카쓰카 아키라 나라여대 명예교수 등이 참석했다. 개번 매코맥 오스트레일리아국립대 명예교수와 쉬융 베이징대 교수 등도 참여해 논의의 지평을 넓혔다.
일본 근대사 전공의 나카쓰카 교수는 발표문을 통해 “한국병합조약은 일제가 한반도의 전 국토를 군사점령하에 두고 이 조약을 강요해 받아낸 ‘허구의 극’에 불과하다”고 한국병합조약의 원천무효를 재확인했다. 그는 “일본 쪽 공동성명 서명자 540명 가운데 역사가가 227명”이라며 “앞으로도 역사의 진실을 명백히 밝히는 일을 계속해갈 것”이라고 다짐했다.
김영호 교수는 개회사에서 “새로운 아시아의 미래는 아시아의 역사 화해를 통해 비로소 가능하다”며 “공동성명은 아시아의 역사적 화해를 위한 거점으로 식민지 책임론을 확보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또 “중국의 패권주의를 막기 위해서도 과거 아시아의 패권주의 유산을 청산하는 것이 중요하다”며 “지난해 공동성명을 아시아 지식인 공동선언으로 확대하고 세계 지식인의 지지를 받는 형태로 발전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날 ‘일본의 독도 재침략 저지와 과거청산 촉구를 위한 남북 공동토론회’도 6·15공동선언실천 남측위원회와 북측위원회 공동주최로 서울 용산구 백범기념관에서 열렸다. 참가자들은 공동호소문을 채택해 “일본이 독도를 분쟁지역화하려는 것은 우리 민족의 주권을 침해하는 것일 뿐 아니라 군국주의적 야심을 여실히 드러내는 것”이라며 대일 문제에 대한 남북의 협력과 연대를 촉구했다. 북쪽 대표들은 이날 행사에 직접 참여하지 않고 토론회 발표문을 보내왔다.
손원제 기자, 박병수 선임기자 wonj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