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치는 미-북 리수용 북한 외무상(앞)과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뒤)이 6일 말레이시아 쿠알라룸푸르 푸트라 세계무역센터에서 열린 아세안지역포럼(ARF)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하고 있다. 쿠알라룸푸르/AP 연합뉴스
말레이시아 ARF회의
리동일 전 차석대사 강경 발언
“적대시 계속땐 제2 한국전쟁 일어날 것”
리동일 전 차석대사 강경 발언
“적대시 계속땐 제2 한국전쟁 일어날 것”
말레이시아에서 열리는 아세안지역포럼(ARF)에 참석한 북한 외교 당국자가 만약 미국이 대북 적대시 정책을 계속하면 “제2의 ‘한국전쟁’이 일어날 것”이라며, 미국의 대북 압박 기조에 거세게 반발했다.
리동일 전 북한 유엔대표부 차석대사는 6일 오후 쿠알라룸푸르의 아세안지역포럼 행사장에서 연 기자회견에서, 스스로를 ‘리수용 외무상의 대변인’이라고 밝히며 “미국이 진정 원하는 것은 조선반도(한반도)의 비핵화가 아니라 조선반도의 미국화”라며 미국을 비난했다. 그러면서 그는 “만약 미국이 조선을 군사동맹 강화와 대규모 무력 증강의 빌미로 계속해서 이용한다면, 제2의 한국전쟁이 일어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북한의 추가(4차) 핵실험 가능성에 대해 “미국의 태도에 달려 있다. 핵 재앙으로부터 주권과 인민을 보호하기 위한 자위적 방안을 갖는 것 외에 다른 선택이 없다”고 밝혔다. 또 오는 10월10일 노동당 창건일을 계기로 북쪽이 장거리 로켓 발사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도 “주권 사항”이라며 “이미 과학, 경제적 발전을 위해 인공위성 발사를 계속할 것이라고 밝혀왔다”고 강조했다.
리 전 대사는 자신의 발언 내용이 리수용 외무상의 아세안지역포럼 발언을 요약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를 두고는 이란 핵협상 타결 이후 국제사회의 이목이 북한을 향하고 있는 데 대해, 미국이 먼저 대북정책 전환에 나설 것을 요구하며 강하게 반발한 것이라는 풀이가 나온다. 정부 고위 당국자는 “이번엔 아세안 회원국에서 적잖은 국가가 북한을 (직접) 지칭하며 서방과 비슷한 강도 및 내용의 비핵화 촉구를 내놨다”고 말했다.
리 전 대사는 기자회견에서 성명서 낭독 및 질문에 대한 답변 전체를 영어로 진행했으며, 일부 한국·일본 기자들이 한국말로 질문하자 “통역할 시간이 없으니 영어로 질문해달라”고 요구하기도 했다. 정부는 리 전 대표가 지난해까지 아세안지역포럼에서 기자들에게 북한의 입장을 설명했던 최명남 국제기구국 부국장의 후임자인 것으로 파악하고 있으나, 공식 확인되지는 않았다.
쿠알라룸푸르/김외현 기자 oscar@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