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크 리퍼트 주한미국대사
리퍼트 대사 “외교적 해결책에 의지
북한 회담장 이끌기위해 제재 실행”
북한 회담장 이끌기위해 제재 실행”
마크 리퍼트 주한미국대사는 11일 외교부 기자단 간담회에서 미국의 대북정책에서 “비핵화가 최우선 순위이며, 평화체제와 관련해 입장 변화가 전혀 없다”고 다시 한번 강조했다. 동시에 “미국이 여전히 외교적 해결책에 의지를 갖고 있다”고도 여러차례 힘주어 말했다.
사흘 전 주한미국대사관이 “비핵화 최우선 원칙”과 함께 “한·미 양국의 대응방향은 확고히 일치”한다고 낸 ‘언론 성명’과 맥을 같이하면서도, 성명에서 언급하지 않은 “외교적 해결책”에 대한 의지를 피력한 것이다.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과 존 커비 국무부 대변인이 잇따라 중국이 제안한 ‘북한 비핵화와 평화협정 병행 논의’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자, 미국 정부의 속내를 싸고 관측이 무성한 가운데 나온 입장이었다.
리퍼트 대사는 우선 현재 미국을 비롯한 국제사회가 강력하고 전례없는 대북 제재 실행을 위해 노력 중이라는 점을 분명히 했다. 하지만 앞서 케리 국무장관도 밝혔듯 “제재 자체가 목적이 아니라 수단”이라며 “목적은 원칙 있는 외교를 통한 한반도 비핵화”라고 규정했다.
그는 미국 정부가 “중국과 계속 대화”를 하고 있으며 “6자회담 재개를 논의를 할 것”이라면서도 “당장 당면해 중요한 건 북한을 회담장으로 이끌도록 강력한 제재를 실행”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이 회담장으로 돌아오겠다는 의지를 보일 때까지 지금 가진 전략을 추진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안보리 결의 등이 북한 정권의 붕괴를 염두에 둔 제재가 아니냐’는 질문에는 “우리의 정책은 (북한) 정권 교체를 염두에 둔 정책이 아니다”라고 단언했다.
리퍼트 대사는 북핵 문제의 외교적 해결과 관련해 “협상과 대화를 할 것인지 결정은 김정은 지도부에 달렸다”고 못박았다. 아울러 버락 오바마 행정부가 이란과 쿠바, 미얀마 등과의 복잡한 문제를 외교를 통해 푼 사례를 내세우며 “북한 지도부가 꼭 생각해봤으면” 한다고 짚기도 했다.
김홍균 외교부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이 방미길에서 “철저한 제재 이행에 집중해야 하며 대화를 거론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제재’에 방점을 찍은 것과는 여전히 미묘한 온도차가 엿보인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