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미국 정부의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체계 주한미군 배치 결정 발표 이후 한국-중국 관계가 갈수록 태산이다. 한-중 외교장관은 24일(현지시각) 밤 10시께, 라오스 비엔티안에서 24~26일 열리는 아세안지역안보포럼(ARF) 등 아세안(동남아국가연합) 관련 연쇄 외교장관회의를 계기로 양자 회담을 벌여 절충을 시도했으나 격한 파열음을 냈다.
주한미군의 사드 배치에 대해 중국과 러시아는 끈질기게 반대 의견을 밝혀왔다. 올해 봄까지만 해도 `우려' , `신중을 기해야' 등의 수준을 유지했으나 한국 정부의 무대응에 가까운 조처에 양국 정부의 경고와 압박 수위는 날이 갈수록 높아졌다. 급기야 한국과 미국 정부가 지난 8일 사드 배치를 공식 발표하자, 중국과 러시아 정부는 `상응하는 조처', `군사적 조처' 등도 언급하기에 이르렀다. 그럼에도 한국 정부는 `보복은 없을 것'이라는 안이한 태도를 취하고 있다. 과연 중국과 러시아의 사드 배치 반대가 수사에 불과한지, 올초부터 시간 순서대로 정리한 중국과 러시아, 한국 관료들의 말말말 타임라인을 통해 맥락을 짚어봤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