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엔총회 고위급회의 20일 시작…일주일간 기조연설
17일 출국 윤병세 장관, 북한인권 문제 강력 거론할 듯
북한 3년째 참석…리용호 외무상 ‘핵보유국 인정’ 예상
17일 출국 윤병세 장관, 북한인권 문제 강력 거론할 듯
북한 3년째 참석…리용호 외무상 ‘핵보유국 인정’ 예상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안보리)에서 새로운 대북 제재 결의안이 논의되는 가운데 미국 뉴욕에서 열리는 제71차 유엔총회에 남북한 외교수장이 각각 참석해 주목된다. 윤병세 외교부 장관은 17일 오후 인천공항을 통해 출국하고 북한의 리용호 외무상은 비동맹회의가 열린 베네수엘라를 거쳐 곧 유엔총회에 참석할 예정이다.
윤 장관과 리 외무상은 각각 22일(이하 현지시각)과 23일 유엔 회원국 기조연설을 할 것으로 예상된다. 20일부터 일주일간 이어지는 유엔총회 기조연설은 각국 정상과 부통령, 정부수반, 장관 순서로 진행된다.
17~22일 유엔총회에 참석하는 윤 장관은 각종 양자·다자 일정을 대북 제재·압박 외교에 집중할 예정이다. 윤 장관은 18일 존 케리 미국 국무장관, 기시다 후미오 일본 외무상과 한·미·일 외교장관 회의를 갖는다. 유엔 안보리의 새 대북 제재 결의안 도출 방안과 각국의 독자 제재 방안 등을 협의할 것으로 관측된다. 미·일과 각각 양자 외무장관 회담도 계획돼 있다. 특히 18일 열리는 한-일 외교장관 회담에서 양국 간 군사정보보호협정(GSOMIA) 체결 문제가 거론될 가능성이 있어 주목된다.
윤 장관은 유엔총회 참석 기간 동안 미·일 등 최소 15개국 외교장관과 양자회담을 벌여 대북 제재·압박 외교에 나설 예정이지만, 리커창 중국 총리를 수행해 유엔총회에 참석할 가능성이 있는 왕이 외교부장이나 러시아의 세르게이 라브로프 외교장관과의 양자회담은 계획돼 있지 않다.
윤 장관은 유엔총회 기조연설에서도 대북 제재·압박의 필요성을 강조하면서 북한인권 문제를 비중있게 거론할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정부는 이달 초 북한인권법 시행을 계기로 북한인권 문제를 대북 제재·압박의 수단으로 활용하려는 움직임을 보여왔다.
북한은 2014년부터 올해까지 3년 연속 유엔총회에 참석한다. 무엇보다 유엔 외교가에서는 안보리의 대북 추가제재 논의가 본격화되는 터에, 리용호 외무상이 기조연설에서 어떤 발언을 내놓을지 주목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리 외무상이 ‘주권국가로서 핵 보유의 정당성’을 주장하고 ‘핵보유국 지위 인정’을 요구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5차 핵실험을 거쳐 핵무력을 고도화한 상태에서 ‘대화·협상을 통한 문제 해결’의 필요성을 제기할 가능성도 일각에서 점쳐지고 있다. 앞서 리 외무상은 15일 비동맹회의 연설에서 “(5차 핵실험은) 미국의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 필요했다. 미국이 한반도에서 군사훈련을 벌이는 데 대응하기 위해 실시한 핵실험은 합법적인 국방정책의 일환이다. 북한은 미국의 계속되는 도발에 맞서 반격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한 바 있다.
리 외무상이 반기문 유엔 사무총장과 만날지도 관심사 중 하나다. 유엔 사무총장은 총회 기간 유엔본부를 찾은 회원국 정상·각료를 접견하는 것이 관례다. 반 총장은 2014년과 지난해 총회 때 리수용 당시 외무상(현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을 접견했었다.
김진철 기자 nowher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