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녀상 항의 귀국 뒤 85일 만에 복귀
“위안부 합의 이행 요구할 것” 밝혀
외교부 “사전협의 없어 외교적 결례”
총리실 “만날지 여부는 우리가 결정”
“위안부 합의 이행 요구할 것” 밝혀
외교부 “사전협의 없어 외교적 결례”
총리실 “만날지 여부는 우리가 결정”
부산 일본 총영사관 앞 소녀상에 항의의 뜻으로 일본으로 돌아갔다가 85일 만에 복귀한 나가미네 야스마사 주한 일본대사가 황교안 대통령 권한대행을 비롯해 국방·통일 장관 면담을 일제히 요청했다.
5일 외교·국방·통일부 쪽 설명을 종합해보면, 나가미네 대사는 4~5일 이틀에 걸쳐 총리실과 외교부, 통일부, 국방부에 면담을 신청했다. 나가미네 대사는 4일 밤 김포공항으로 입국하며 “즉시라도 황교안 대통령 직무대행 국무총리 등 중요 관계자들을 직접 만나 한·일 (위안부) 합의의 실시를 강력하게 요구할 생각”이라고 말한 바 있다.
총리실 등은 나가미네 대사의 요청에 대해 “검토 중”이라는 입장을 내놨다. 그러나 내부적으로는 나가미네 대사의 귀국 발언 및 면담 요청을 썩 달가워 하지 않는 분위기다. 외교부 관계자는 “황 권한대행이 대사의 카운터파트(협의 상대)가 아니지 않나. 격이 맞지 않는다”고 말했다. 관례상 일본 대사의 업무 협의 상대는 외교부 차관인 데다, 황 권한대행과의 면담을 사전 협의없이 공개 거론한 것도 외교 관례에 어긋난다는 것이다. 한 나라의 주재 대사가 갑자기 돌아와 일제히 정부 주요 각료들을 만나겠다고 하는 것도 납득하기 어렵다는 반응이다.
나가미네 대사의 발언은 일본 국내여론을 의식한 ‘명분용’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앞서 일본 정부는 ‘부산 소녀상’ 설치에 항의해 1월 나가미네 대사 등을 일시 소환하는 등 ‘보복성 조처’를 취한 뒤 그를 복귀시킬 명분과 시점을 놓쳤다는 평가가 나왔다. 그러다 일본은 ‘한국 대선·북핵 위기’ 등의 이유를 내세워 대사를 갑자기 복귀시켰다.
나가미네 대사가 ‘위안부 합의 이행’을 주장하며 귀국한 4일은 위안부 피해자 이순덕 할머니가 별세한 날이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