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36%…2014년엔 중 58%·미 34%
“중 사드보복에 미 반사이익” 분석
“중 사드보복에 미 반사이익” 분석
북핵·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THAAD) 등 한반도 정세를 좌우하는 외교·안보 이슈를 놓고 미국과 중국의 신경전이 치열하다. 당장 미-중 정상회담(6~7일)에서 양국 정상이 어떤 결과를 내놓을지도 미지수지만, 우리나라 국민 10명 중 5명은 한국의 발전을 위해선 미국과 손을 굳건히 잡는 것에서 답을 찾고 있었다. 사드 배치를 둘러싼 중국의 ‘보복 조치’에 대한 반감과 안보에 대한 불안감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한겨레>와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이 여론조사기관 엠알씨케이(MRCK)에 의뢰해 지난달 30일부터 4월1일까지 전국 만 19살 이상 성인 151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 결과 응답자의 51.5%가 우리나라의 발전을 위해 가장 협력해야 할 나라로 미·중·일 세 나라 가운데 미국을 꼽았다. 중국을 선택한 응답자는 36.2%, 일본과 협력 강화가 필요하다고 대답한 응답자는 3.3%에 그쳤다. 2014년 12월 조사 당시 응답자의 58.5%가 중국을 34.5%가 미국을 중요 협력 대상으로 여겼던 것과 확연한 차이다.
조사를 진행한 한귀영 한겨레경제사회연구원 사회조사센터장은 7일 “최근 사드 보복 조처 등으로 인한 경제적 피해 때문에 중국과의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답변이 많을 것이라는 예상을 엎고 미국을 선택한 의견이 많아졌다”며 “한국뿐 아니라 미국의 정치 상황을 바라보면서 국민이 느끼는 안보 불안감이 반영된 것 같다”고 분석했다. 우정엽 세종연구소 객원연구위원은 “중국의 ‘사드 보복’에 대한 국민의 반감으로 미국이 반사이익을 본 것”이라고 풀이했다. 실제 미국을 선택한 응답자들은 그 이유로 ‘우방(동맹국)이라서(21%)’와 ‘안보에 도움이 되므로’(11.1%) 등을 꼽았다. 중국을 선호한 응답자는 높은 무역 의존도 등 경제적 이유가 압도적이었다.
세대별로는 60대 이상(66.1%)과 20대(56.7%)가 미국을 가장 중요한 협력국이라고 답했다. 반면 40대는 50.7%가 중국을 중시한다고 답해, 미국(39.1%)을 크게 앞섰다. 30대와 50대는 중국과 미국을 응답한 비율이 양쪽 모두 40%대로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아산정책연구원의 김지윤 박사는 “몇 년 전부터 20대 남성이 안보 문제에서 보수적인 성향을 드러내고 있다”고 말했다.
정치적 성향에 따라서도 답은 갈렸다. 문재인 더불어민주당 후보 지지자라고 밝힌 응답자는 48.1%가 중국과의 협력을 중시했고, 미국은 39.1%였다. 홍준표 자유한국당 지지자와 유승민 바른정당 후보 지지자들은 미국과의 협력 강화를 원하는 응답자가 각각 79.3%, 60.8%에 이르렀다.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 지지자의 경우 57.8%가 미국, 29.9%가 중국을 선택했다. 김준형 한동대 교수는 “(미-중이 미치는 영향력이) 균형을 이룬다면 택일이 어려울 텐데, 국내 여론이 확실하게 진영화되었다는 점을 보여주는 결과”라고 말했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