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국 6자회담 수석대표 만나
“사드 보복 철회” “사드 철회” 맞서
미 국무 “북 정권 교체, 목표 아냐”
“사드 보복 철회” “사드 철회” 맞서
미 국무 “북 정권 교체, 목표 아냐”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들이 10일 “북한이 핵이나 대륙간탄도미사일 등 전략적 도발을 감행할 경우에 안보리 결의에 따라서 강력한 추가적 조치가 있어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 외교부가 밝혔다.
한국 쪽 수석대표인 김홍균 외교부 한반도 평화교섭본부장은 서울 종로 정부서울청사에서 중국 쪽 수석대표인 우다웨이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와 협의 뒤 기자들과 만나 “한·중 양측은 북한 핵문제의 시급성과 엄중성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고 북한 도발에 대한 우려와 반대 입장을 재확인했다”고 밝혔다. 김 본부장은 “(북한의 도발이 계속될 경우) 대북 제재와 압박을 지속적으로 강화해 나가야 한다는 데 의견을 같이했다”고도 전했다. 이는 미국과 중국이 지난 6~7일 열린 정상회담에서 당분간 대북 제재와 압박을 강화하기로 했다는 기조와 궤를 같이하는 것으로 보인다.
한·중 두 나라 사이에 최대 현안으로 꼽히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체계와 관련해서는 “우리는 중국 측의 부당한 조치가 즉각 중단되도록 중국 정부의 책임있는 조치를 촉구했다”고 김 본부장은 밝혔다. 반면 중국 쪽은 “기본 입장을 되풀이했다”고 김 본부장이 전했다. 우 대표가 ‘사드 배치 철회’ 주장을 반복한 것이다.
우 대표는 이날 오전 방한했다. 우 대표는 나흘 동안 한국에 머무르면서 정부·정치권·학계·재계 등 다양한 인사들을 폭넓게 만날 예정으로 알려졌다. 우 대표는 방한 첫날인 이날 윤병세 외교부 장관을 만난 데 이어 김 본부장과 만찬까지 이어지는 협의를 했다. 한·중 6자회담 수석대표 간 협의는 지난해 12월9일 김 본부장의 중국 베이징 방문 뒤 4개월 만이다. 우 대표의 방한은 지난해 2월 이후 처음이다.
우 대표는 11일 오후 4시 더불어민주당 문재인 대선 후보 캠프의 총괄본부장인 송영길 의원을 비롯한 민주당 인사들을 만날 예정이다. 이에 앞서 오후 2시에는 국민의당 박지원 대표와 면담이 잡혀 있으며, 같은 당 박주선 국회 부의장 등과의 면담 일정도 협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렉스 틸러슨 미국 국무장관은 9일(현지시각) <에이비시>(ABC) 방송 ‘디스 위크’에 출연해 “우리의 목표는 비핵화된 한반도라는 점을 분명히 해왔다. 북한 정권을 교체하는 것은 목표가 아니다”라고 밝혔다. ‘대북 선제타격론’이나 ‘김정은 제거설’ 등에 분명한 선을 그으면서, 당장은 아니지만 향후 협상을 위한 기회의 창은 열어놓겠다는 메시지로 풀이된다.
김지은 기자, 워싱턴 이용인 특파원 mirae@hani.co.kr
윤병세 외교부 장관(오른쪽)과 김홍균 한반도평화교섭본부장(가운데), 6자회담 중국 측 수석대표 우다웨이(武大偉) 중국 외교부 한반도사무특별대표가 10일 오후 서울 세종로 외교부 청사에서 접견을 한 뒤 나서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