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온 백악관 외교참모 밝혀
기존 신속배치 입장과 다른 기류
부통령 대변인 “정책 변화 없다”
기존 신속배치 입장과 다른 기류
부통령 대변인 “정책 변화 없다”
미국 백악관 관계자가 16일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THAAD)의 배치 및 운용과 관련해 “(한국의) 다음 대통령이 결정할 사안”이라고 밝혀 파장이 예상된다.
백악관 풀기자단에 따르면 백악관의 한 외교정책 참모는 이날 방한한 마이크 펜스 미 부통령의 전용기를 타고 오면서 기자들에게 사드의 배치 완료 및 운용 시점에 대해 “진행 중이다. 아직도 해결해야 할 몇가지 문제가 있다”며 “여타 정부 결정들처럼 몇주 또는 몇달이 더 걸릴 수도 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어 “(배치는) 진행 중이지만 솔직히 그들(한국)이 5월 초 다음 대통령을 뽑을 때까지는 (그럴 것)”이라며 “그것은 (한국의) 다음 대통령이 결정할 사안이 맞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지난 3월 사드 발사 차량을 한국에 들여오는 등 그동안 한·미 군 당국은 사드 배치를 서둘러 왔다. 특히 한국 정부는 그동안 사드 배치 문제를 차기 정부로 넘기라는 정치권의 요구에도 “사드 배치 문제는 국가 안보와 관련된 것으로 가능한 조속한 시일 내에, 계획대로 진행할 것”이라며 일축해왔다. 이날 백악관 관계자가 한 발언은 한·미가 밝혀온 신속한 배치 방침과는 확연히 다른 기류로 읽힌다.
외교부는 이날 자료를 내 “주한미군 사드 배치를 차질없이 추진한다는 것이 한·미 양국 공동의 입장”이라며 확대 해석을 경계했다. 관련 사정에 밝은 외교부 당국자도 “여러 채널을 통해 확인해본 결과, 사드를 차질없이 조속히 배치한다는 기조 결정에 변화가 없다”고 강조했다. 주한 미대사관도 이날 밤 외교부를 통해 기자들에게 ‘(펜스) 부통령 대변인이 오늘 기내 (백악관 참모의) 사드 발언 관련 미측 기자들을 대상으로 보낸 메시지’라며 “사드 배치와 관련해 정책 변화는 없다”는 해명자료를 냈다.
그러나 백악관 외교보좌관이 트럼프 행정부가 한 번도 언급한 적이 없는 민감한 내용을 기자들에게 말한 것을 두고 단순한 ‘실언’이 아닐 수 있다는 분석도 나온다. 한 정부 고위관계자는 “최근 중국이 큰 틀에서 (미국에) 협조적이니, 이미 갖다 놓은 것(사드)은 갖다 놓은 것이고, (앞으로 대선 전에) 더 갖다 놓거나 하지는 않고 협의의 영역으로 남겨 두겠다는 의중을 시사한 것일 수도 있다”고 말했다.
김지은 박병수 기자 mirae@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