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오후 중국 베이징 댜오위타이 국빈관에서 열린 한-중 외교장관 회담에서 강경화 외교부 장관과 왕이 중국 외교부장이 악수를 하고 있다. 베이징/연합뉴스
한국과 중국 양국이 오는 12월 중순 문재인 대통령의 중국 국빈 방문을 추진하기로 합의했다.
외교부는 23일 “(한-중은) 12월 중순 문재인 대통령의 중국 국빈 방문을 추진키로 합의하고, 문 대통령의 방중이 양국 관계 개선 흐름을 강화, 발전시켜나가는 데 중대한 계기가 될 것이라는 데 의견을 같이 했다”고 밝혔다. 이는 지난 21일 방중한 강경화 외교부 장관이 22일 왕이 중국 외교부장과 회담에서 합의된 내용이다. 두 장관은 이날 오후 늦게 회담을 시작해 만찬으로 이어지는 5시간 동안 문 대통령의 방중을 비롯해 양국 관계 및 북핵 문제 등에 대해 논의했다고 외교부는 전했다.
한-중은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 체계 문제를 ‘봉합’한 10월31일 한-중 관계 개선 관련 협의 결과와 이달 11일 베트남 다낭에서 열린 한-중 정상 간 협의 내용을 되짚고, 두 나라가 실질적인 전략적 협력동반자 관계로 발전키시기 위해 함께 노력해 나가기로 했다.
강 장관은 이날 중국 쪽에 사드 보복 문제도 제기한 것으로 보인다. 한국과 중국이 관계 개선 입장을 발표한 전후로 공식석상에서 드러나지 않아온 부분이다. 외교부는 “(강 장관이) 문 대통령의 방중에 앞서 중국에서 우리 기업들이 겪고 있는 어려움이 조기에 해소되고 양국 간 인적 교류가 예전처럼 활성화되기를 기대한다고 했다”고 밝혔다. 이에 왕 부장은 지난달 31일 양국이 한 발표 및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이 지난 정상회담 당시 표명한 입장을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시 주석은 당시 사드 문제를 빗대 “서로의 핵심 이익과 중대 우려 존중” 또는 “역사의 시험을 감당할 수 있는 정책 결정”이라고 표현했으며, 중국은 협의문에서 “중국측은 국가안보를 지키기 위해 한국에 배치된 사드 체계를 반대한다고 재천명”한 바 있다. 결국 기존 입장을 되풀이한 것이지만, 양국이 일단 ‘봉합’한 사드 문제가 언제든 수면위로 떠오를 수 있다는 점을 다시 확인됐다고 볼 수 있다. 한 정부 당국자는 “(12월 한-중) 정상회담에서 우리 정부로써는 사드 문제가 다시 불거지지 않도록 조율하는 게 관건”이라고 말했다.
강 장관은 또 “양국 관계를 제반 분야에서 정상화시키는 데 전력을 다하기를 희망한다”고 했다. 왕 부장은 “양국간 제반 분야에서의 교류를 활성화하기 위해 적극적인 조치를 취해 나가자”고 했다. 지난달 31일 협의문은 양국이 “모든 분야의 교류협력을 정상적인 발전 궤도로 조속히 회복시켜 나가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날 회담에서 두 장관은 최근 한반도 상황에 대한 평가를 공유하고 대화를 통한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 입장을 다시 확인했다. 외교부는 “(두 장관이) 모든 외교적 수단을 통해 북한의 도발 부재 상황을 지속시키는 등 한반도 안보 상황을 안정적으로 관리해 나감으로써 내년 2월 및 3월 개최 예정인 평창 올림픽 및 패럴림픽을 ‘평화의 올림픽’으로 개최하기 위해 긴밀히 협력해 나가기로 했다”고 전했다.
이에 더해 중국 쪽은 안보리 결의 이행 의지를 재확인하고 (북한과의) 대화 여건 조성을 위한 외교적 노력을 계속하겠다는 의지를 밝혔다. 강 장관은 “한-중 양국이 북한의 추가도발을 억제해 나가는 가운데 국면 전환 여건 조성을 위해 함께 노력”하자고 말했다고 외교부는 밝혔다.
김지은 기자
mirae@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