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 27일 남북 정상회담이 열릴 판문점, 북미 정상회담이 열릴 후보지로도 거론된다. AP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17일(현지시각) 역사적인 북-미 정상회담 장소로 “5곳을 고려하고 있다”고 밝히면서, 회담 장소가 어디가 될지에 다시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기자들이 회담 장소로 미국이 포함되느냐고 묻자 “아니다”라고 부인하고는 구체적인 언급을 피했다. 그렇지만 국내외 언론 보도를 보면 대체로 평양이나 판문점 등 한반도 분쟁의 상징인 곳과 북유럽이나 스위스, 몽골 등 비교적 중립국 이미지가 강한 지역 등이 거론된다.
평양은 미국 입장에서 오랜 세월 적국의 심장과 같은 곳이다. 북핵 해결과 관련한 확실한 성과를 담보하지 않는 한 현직 대통령의 방문은 부담스러울 수 있다. 그러나 평양은 2000년 빌 클린턴 대통령이 방문하려던 곳이기도 하다. 또 예상치 못한 ‘깜짝쇼’로 허를 찌르곤 하는 트럼프 대통령의 스타일상 전격적인 평양 방문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다.
판문점은 한반도 냉전의 상징이라는 점에서 유력하게 거론된다. 철저히 통제된 공간이라는 점도 장점이다. <뉴욕 타임스>는 지난달 10일 백악관이 정상회담 장소와 회담 지원 체계에 대한 숙고에 들어갔다며, “가장 확실한 장소는 판문점”이라는 국무부 당국자의 언급을 전한 바 있다.
북유럽의 스웨덴이나 스위스, 몽골 등은 비교적 중립지역이라는 점에서 북-미가 합의할 수 있는 장소이다. 스웨덴은 평양에 대사관을 두고 미국의 영사 업무를 대행해왔다. 지난달엔 리용호 외무상이 스웨덴을 찾아 마르고트 발스트룀 외교장관과 회담해 눈길을 끌었다. 스위스는 영세 중립국으로 각종 국제 행사의 단골 개최지 구실을 해왔고, 몽골은 거리상 북한과 가까워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기차로 여행할 수 있는 곳이다. 몽골은 2012년 유엔을 통해 ‘비핵지대’로 인정받은 바 있다.
그러나 의외의 곳이 선정될 가능성도 있다. <블룸버그>는 18일 익명의 관계자를 인용해 “베이징과 평양, 서울, 판문점은 고려하고 있지 않다. 제네바나 동남아시아가 논의되고 있다”고 전했고, <워싱턴 포스트>는 같은 날 미국 당국자를 인용해 “한국은 제외됐고 동남아를 포함한 아시아와 유럽을 살펴보고 있다”고 보도했다.
박병수 선임기자
suh@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