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BAR_‘베테랑 보좌관’ 윤재관씨 ‘국회를 돌려드립니다’ 출간
“여보, 국회가 언제 국민의 것이었던 적이 있었어? 국회를 돌려드린다는 것이 가능하다고 생각하는 국민이 있을까?” 원고가 거의 완성돼가던 지난 1월, 윤재관(더불어민주당 부대변인)씨의 아내는 <국회를 돌려드립니다>라는 책 제목에 이렇게 반응했다. “믿어줄 국민이 없으니 다시 생각해보라는 얘기”였지만 윤씨는 “국회와 국민의 거리가 단 1미터라도 줄어들 수 있다면 그것으로도 족하다는 생각으로” 탈고를 마쳤다. 국민의 대표가 모인 국회는 ‘국민의 것’이어야 한다. 그러나 대부분의 국민은 자신의 대표를 국회에 보내놓고 “매일 쌈박질만 하는 곳”이라며 혐오한다. 17년 전 인턴 보좌관을 시작으로 박병석 의원 비서관, 김영주 의원, 장병완 의원실 보좌관을 거친 윤씨는 “논쟁이 없고 논란이 없는 국회가 좋은 것일까?”라고 정면으로 묻는다. 그리고 답한다. “그건 담합일 뿐이다. 치열하게 싸워야 한다. 국민들은 자신을 대표해서 잘 싸워주는 국회의원이 누군지 알아야 한다.” 그는 책의 부제를 ‘빽없는 국민을 위한 국회사용설명서’라고 달았다. 잘 싸울 수 있도록 국회를 적극적으로 써먹어달라는 게 그의 메시지다. “비난받는 국회가 정말 어떤 일을 하고 있는지, 놀고먹는 것처럼 보이는 국회 안에서 어떤 일들이 벌어지고 있는지 말하고 싶었다”며 그는 국민을 위해 싸워온 여러 사례를 책에 담았다. 그래서 책에는 ‘어? 국회가 이런 일도 해?’라며 놀랄 만한 일들이 담겼다. 가정폭력 피해자들이 몸을 의탁하고 보호받을 수 있는 ‘쉼터’가 있다. 적지않은 쉼터가 아파트에서 ‘그룹홈’ 형태로 운영된다. 이런 사회복지시설은 전기세의 20%를 감면받을 수 있으나 혜택을 받으려면 한전에 아파트 관리사무소를 통해 신청을 해야 하는 게 문제였다. 가정폭력 피해자의 안전을 보장하고 혹여 생길지 모르는 아파트 주민과의 갈등을 피하기 위해서는 쉼터를 비공개로 운영해왔기 때문이다. 쉼터가 공개되는 위험을 무릅써야 했기에 쉼터는 전기세 감면을 포기해야 했다. 쉼터를 운영하고 있는 센터장은 한전과 시청, 여성가족부에 제도 개선을 요청했지만 ‘방법이 없다’는 답만 듣고 결국 국회의 문을 두드렸다. 윤씨는 이런 고충을 듣고 부조리를 바로잡기 위한 ‘행동’에 돌입했다. 여성가족부에 협조를 요청하고 국회 산업위원회, 여성가족위원회 보좌관들에게 자료를 전달하며 문제점을 알렸다. 언론에도 제보해 기사화시켰다. 6개월 간의 ‘작업’ 끝에 비로소 한전이 움직였다. 쉼터의 존재를 지자체가 확인해주면 전기세를 우선 납부한 뒤 쉼터 계좌로 감면액을 돌려주는 식으로 방법을 바꾼 것이다. 지역구에 들어설 골프연습장 공사 계획을 무산시킨 것도 주민들을 대신해 싸워준 결과였다. 지역구 아파트 옆 공터에 골프연습장이 들어설 것 같은데 그걸 막아달라는 ‘민원’이 국회의원 지역위원회 사무실에 접수됐다. 사유지였기 때문에 그곳에 골프연습장을 세우는 건 겉으로는 문제가 없어 보였지만 윤씨는 소음 피해를 검증해보기로 했다. 이미 영업 중인 비슷한 크기의 골프연습장을 찾아가, 골프연습장 부지와 아파트 단지의 거리만큼 떨어진 곳에서 소음을 측정했다. 주간 소음 기준인 65데시벨을 넘지 않았다. 그러나 밤에 측정해보니 야간 소음 기준인 55데시벨을 훌쩍 넘겼다. 자료를 구청에 제출하자 구청은 골프연습장 건설 허가를 반려했다. 공공기관이 ‘규정’을 따질 때 국회는 ‘사람’을 먼저 생각한다. 윤씨는 “취직이나 아들 군대 빼달라는 부탁”을 빼고는 “지역을 위한 일이라면 언제라도 성심성의껏 그에 대한 답을 들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한다. 힘들고 어려운 일이 있을 때, 그리고 도저히 묵과할 수 없는 부조리를 바로잡고 싶을 때 언제든지 써먹을 수 있는 게 국회다. 윤씨가 말하는, 국회를 잘 써먹을 수 있는 ‘꿀팁’과 ‘상식’을 정리했다.
◎ 정치BAR 텔레그램 바로가기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