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부겸 국무총리가 22일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코로나19 대응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연합뉴스>
정부가 국립중앙의료원, 서울의료원, 보훈병원 등 일부 공공병원을 비워 코로나 전담병원으로 전환하기로 했다. 또 현재 1만5천여개의 중등증 이상 병상을 내년 1월 중순까지 1만여개를 더 확보해 2만5천개로 늘리기로 했다.
김부겸 국무총리는 22일 서울청사에서 열린 코로나19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하루 1만명의 코로나19 확진자가 계속 나오더라도 치료가 가능한 수준으로 병상을 확충한다”며 이렇게 밝혔다. 앞서 박경미 청와대 대변인은 지난 20일 서면브리핑을 통해 “국립대병원은 의료 역량을 코로나 중증환자 진료에 집중 투입해달라”며 “수도권 지역에 소재한 공공병원 중 가능한 경우는 감염병 전담병원으로 전환하라”는 문재인 대통령의 지시 사항을 전했다.
김 총리는 “현재 1만5천여개의 중등증 이상 병상을 내년 1월 중순까지 1만여개를 더 확보해 2만5천개로 늘리겠다”며 “중환자 치료역량 강화를 위해 서울대병원 등 국립대 병원에서 300개 이상의 중증 병상을 추가로 확충하겠다”고 설명했다. 또 거점전담병원 추가 지정을 통해 3천개의 병상을 더 확보할 예정이다.
김 총리는 “군의관과 공보의를 코로나 진료 병원에 우선 배치하고, 중환자 전담교육을 마친 간호사들을 즉각 현장에 투입하는 한편, 의료인력에 대한 인건비 지원도 한층 강화한다”며 현장에서 필요한 보건의료 인력도 지원하기로 했다. 또 생활치료센터는 2만여개까지 병상을 추가 확충하고 입원 전부터 퇴원까지 단계별로 병상 운영을 효율화해 실제 가동률을 최대한 끌어올리기로 했다. 정부는 방역상황을 보며 하루 1만5천명 규모의 확진자도 감당해 낼 수 있는 정도의 대책을 미리 준비하기로 했다.
조윤영 기자
jyy@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