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의힘 윤석열 대선 후보가 23일 오후 전남 순천 에코그라드 호텔에서 열린 전남선대위 출범식에서 발언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국민의힘은 23일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가 소속 의원의 통신자료를 조회한 데 대해 공수처 폐지를 거론하며 강하게 반발했다.
윤석열 대선 후보는 이날 페이스북에 글을 올려 “불과 며칠 전 언론사찰이 논란이 되더니 이제는 정치사찰까지 했다니 충격”이라며 “이는 명백한 야당 탄압”이고 비판했다. 윤 후보는 또한 “공수처가 ‘빅 브러더’가 지배하는 공포사회를 만들고 있다”며 “국회의원은 국민을 대표해서 행정부를 견제하고 감시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국회의원에 대한 사찰은 국민에 대한 사찰이기도 하다”고 지적했다. 그는 이어 “이런 식이라면 일반 국민도 사찰하지 말라는 법이 없다”며 “이 정도면 공수처의 존폐를 검토해야 할 상황이 아닌지 생각하지 않을 수 없다”고 강조했다.
국민의힘은 이날까지 추경호·박성민·박수영·서일준·윤한홍·이양수·정희용·조수진 의원과 장능인 국민의힘 상임선거대책위원장 청년보좌역 등 모두 9명이 공수처의 통신자료 조회 대상이 됐다고 밝혔다.
김종인 총괄선대위원장도 이날 선대위 회의에서 “검찰개혁이라고 해서 공수처를 만들었는데, ‘공포처’처럼 변질됐다”며 “인권보호를 위해 만들었다고 했는데 취지와 다르게 움직이고 있으니 통신조회 같은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제도를 만들어야 하지 않나 생각된다”고 재발 방지 대책을 촉구했다.
국민의힘 소속 국회 법제사법위원들은 이날 전체회의를 열어 법사위의 긴급현안 질의를 요구했다. 그러나 더불어민주당 소속 법사위원들은 사전 협의 없이 야당의 일방적 회의 소집에는 응할 수 없다며 간사인 박주민 의원을 제외하고는 모두 불참했다. 조수진 국민의힘 의원은 이날 전체회의에서 “야당 의원에 대해 이렇게 사찰을 할 수 있는가. 이건 독재 정권 때도 없던 일이다. 사찰 공화국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고 비판했다. 이날 오후에는 장제원·윤한홍 등 법사위 소속 국민의힘 의원들이 공수처를 항의방문해 김진욱 공수처장과의 면담을 요구하기도 했다.
장나래 기자
wing@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