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1일 오후 서울 마포구 <문화방송>(MBC) 미디어센터 공개홀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0대 대통령선거 후보 초청 1차 토론회에 앞서 대선 후보들이 토론 준비를 하고 있다. 왼쪽부터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후보, 안철수 국민의당 대선후보, 심상정 정의당 대선후보. 공동취재사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 후보가 21일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가 가진 새정치의 꿈, 정권교체를 넘어선 정치교체는 평소 제가 말씀드리는 것과 일치하는 면들이 있다”고 말했다.
이 후보는 이날 <한국방송>(KBS) 라디오에 출연해 “안철수 후보는 제가 한때 대표로 모시던 분이시기 때문에 제 나름대로 존경하는 분”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전날 중앙선거관리위원회 주관으로 열린 첫번째 대선후보 티브이(TV) 토론회에서 이 후보의 ‘통합정부론’에 안 후보가 ‘소신’이라며 호응한 것에 긍정적인 반응을 보인 것이다. 이 후보는 “저희는 거대 의석을 갖고 있기 때문에 실제 정치 개혁은 합의가 되면 얼마든지 할 수 있는 상황”이라고 말하기도 했다. 다만 이 후보는 ‘안 후보에 통합정부 구성을 제안한 것이냐’는 사회자의 질문에는 “협력 가능한 모든 진영이 함께 하자는 입장이니까, 거기(안 후보)만 빠질 이유는 없겠지만, 그렇다고 거기에만 대놓고 소위 말하는 단일화 제안을 했다고 해석되는 것은 부담스럽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는 윤석열 국민의힘 대선 후보에 대해서는 “벽에다 대고 얘기한 느낌”이라며 날을 세웠다. 두 후보는 전날 티브이 토론에서 사안마다 격한 공방을 벌인 바 있다. 이 후보는 “내 주장을 하고, 상대방 의견을 듣고, 또 반박을 하는 게 토론의 기본인데 (윤 후보는) 대답을 안 한다든지, 나중에 하겠다고 미룬다든지, 저한테 한참 얘기해놓고 엉뚱하게 다른 사람한테 의견을 묻는다든지 (했다)”며 “기본적인 룰도 안 지키고 하니까 저로서는 너무 좀 당황스러웠다. 너무 무질서했다”고 말했다.
심상정 정의당 대선 후보에 대해선 “민주당에는 가혹하고 국민의힘에는 관대했다”며 서운함을 드러냈다. 심 후보는 지역화폐가 소상공인 지원책에 해당하는지 등을 두고 이 후보와 논쟁을 벌였다. 이 후보는 “(심 후보가) 현금만 주는 것을 지원이라고 생각하는 것에 매우 놀랐다”며 “지원은 매출을 늘려주는, 경제를 활성화하는 게 훨씬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심 후보가 이 후보의 토지이익배당·탄소배당 공약을 향해 배당이 아닌 세금이라고 지적한 것을 두고도 “심 후보가 ‘증세가 정의’라는 좌파적 관념을 많이 갖고 계신 것 같다”며 “세금과 부담금은 전혀 다르다”고 지적했다. 이 후보는 “(토지배당금은) 국민의 90%가 내는 것보다 받는 게 많다. 토지 양극화도 막고, 자산 양극화도 막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새로운 제도로 봐야지 세금을 걷는다는 국민의힘의 공격에 동조하는 게 이해가 안 간다”고 했다.
이 후보는 판세와 관련해선 “소위 바닥민심과 (여론)조사 결과들이 워낙 들쭉날쭉해서 납득이 안 되는 경우가 많다”며 “국민의 높은 민심, 시민의식을 믿기 때문에 미래를 향해서 역량 있는 후보를 선택할 것”이라고 밝혔다. 정권교체 여론이 높은 것을 두고는 “(여론조사 기관이) 정권교체냐, 정권유지냐 질문을 2개밖에 안 하니까 그런 것”이라며 “똑같은 상황에서도 ‘더 나쁜 정권교체를 원하느냐’ ‘진짜 정치교체를 원하느냐’ 이렇게 물어보면, 정치교체를 원한다가 훨씬 많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정권에 대해서 비판적인 입장, 정권 재창출은 안 된다는 쪽도 ‘이재명 지지한다’가 상당히 많지 않느냐“며 “문재인 대통령이 재선에 나온다면 (정권 재창출이란) 그 말이 맞겠지만, 저는 이재명이지 않냐. 정책도 일부 다르고, 승계할 건 승계하지만 다른 것도 많이 추가하고 다르다”고 덧붙였다.
이 후보는 부인 김혜경씨의 법인카드 유용 의혹에 대해서는 “아내가 법인카드를 썼다는 것도 아니고, 직원들의 법인카드 사용의 절차상 문제들이 있었다는 것인데 어쨌든 사적인 일에 공직자의 도움을 받은 건 사실이니까 잘못”이라고 말했다. 이어 “마치 제 아내가 법인카드를 쓴 것처럼 하는 것은 과하지만, 그런 논란을 야기하는 것조차도 저의 불찰이고 관리 부실”이라며 사과했다.
심우삼 기자
wu32@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