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31일 오전 서울 종로구 통의동 대통령직인수위원회에서 열린 경제 1·2분과, 과학기술교육분과 업무보고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 쪽이 일본의 교과서 역사 왜곡과 관련해 “앞으로 그 어떤 역사 왜곡에도 단호히 대처할 것”이라고 31일 밝혔다.
김은혜 당선자 대변인은 이날 서면브리핑을 통해 “윤 당선자는 후보 시절부터 한일 양국의 발전적 관계를 희망하지만, 이를 위해서는 올바른 역사인식과 과거에 대한 철저한 반성이 전제되어야 함을 수차례 밝혀왔다”며 이렇게 강조했다. 전날 김 대변인은 일본의 역사 왜곡 교과서에 대한 입장을 묻는 질문에 “당선자 입장이기 때문에 외교에 대해 입장을 밝히는 건 부적절하다”며 “(윤 당선자의 입장은)올바른 역사인식을 바탕으로 미래지향적 발전관계를 위해 논의를 진행해나가자는 것”이라고 원론적 입장만을 전한 바 있다.
김 대변인이 이날 ‘단호한 대처’를 하겠다는 보다 구체적인 입장을 밝힌 건, 더불어민주당이 “정권교체가 되더니 역사마저 교체된 것 아니냐는 말까지 나온다”며 공세에 나선 데 따른 것이다. 박홍근 민주당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에서 “한일 관계를 이끌 당선자의 침묵이 국민을 불안하게 하고 있다”며 “(윤 당선자는) 후쿠시마 원전 사고를 두고 ‘폭발도, 방사능 유출도 없었다’는 그릇된 인식과 ‘유사시 자위대가 한반도에 주둔할 수 있다’는 발언으로 국민을 걱정하게 했다”고 직격했다. 박 원내대표는 이어 “(윤 당선자가) 침묵할수록 지금껏 보여준 빈곤한 역사인식과 비전 부재만 더 크게 부각될 뿐”이라며 “국민은 일본의 역사 왜곡에 단호히 말할 수 있는 대통령을 원한다. 외교와 협력 역시 국민의 공감 속에 이뤄지는 것”이라고 말했다.
윤 당선자 쪽은 민주당의 이런 비판에 “금도를 지켜줄 것을 요청한다”며 반발했다. 김 대변인은 “이 문제에 대해 그동안 언급을 자제한 것은 현재 일본의 외교 파트너는 현 정부이며, 당선자 신분으로서도 정부가 밝힐 개별 외교 사안을 먼저 존중하는 것이 도의라고 판단했기 때문”이라며 “민주당은 아직 집권 여당이 아니냐. 외교 문제를 국내 정치에 이용하려는 듯한 언급은 유감”이라고 반박했다. 이어 “국익을 우선하는 자세로 협조를 정중히 당부한다”고 덧붙였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