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20대 대통령 당선자가 4일 오후 강원 원주시 부론산업단지를 방문, 유관기관 관계자들과 간담회에서 발언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대통령직인수위원회가 오는 6일 해단식을 앞둔 가운데 50여일의 기간 동안 윤석열 대통령 당선자가 표방한 ‘통합정부’와 ‘책임총리’ 약속이 사라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윤 당선자는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를 지명한 뒤 책임총리제를 실현하겠다고 했다. 윤 당선자는 한 후보자 지명 발표 하루 전인 지난달 2일 그와 샌드위치를 먹으며 3시간 넘게 장관 인선을 논의했다고 알렸다. 책임 총리에 걸맞은 장관 임명 제청권을 존중했다는 취지였다. 그러나 이후 발표한 장관 후보자들은 상당수가 학연 등으로 얽힌 ‘절친’ 인사 였다.
아울러 인사과정에서 한 후보자보다 더 ‘실세’로 주목받은 사람은 장제원 당선자 비서실장이었다. 3일 낙마한 김인철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는 대학교육협의회에서 장 실장의 형인 장제국 동서대 총장과 나란히 회장과 부회장으로 활동했다. 김 후보자는 자신의 사퇴 의사를 한 후보자가 아닌 장제원 실장에게 전했다.
대선 당시 안철수 국민의당 후보와 단일화하면서 내세운 ‘통합정부’도 유명무실해졌다. 내각이나 청와대 구성에서 안철수 인수위원장 쪽 인사는 거의 기용하지 않았다. 내각 인선 과정에서 배제된 안 위원장이 불쾌감을 표시하며 ‘하루 보이콧’을 하고, 측근인 이태규 인수위원이 사퇴하는 일도 벌어졌다. 그러나 윤 당선자는 안 위원장의 청와대 과학교육수석 신설 제안도 묵살했다.
인수위 관계자는 “통합정부는 같이 새 정부를 이끌어가겠다는 의미인데, 안 위원장의 추천 인사가 안 받아들여진 상황에서 통합정부가 제대로 구현될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