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지난 2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 대강당에서 열린 한미 정상 공동기자회견에서 바라보고 있다. 공동취재사진
윤석열 정부의 ‘여성가족부 폐지’ 공약이 외교 무대에서도 입길에 올랐다. 또 한-미 정상 공동 기자회견 동안 ‘질문은 한 가지만 해 달라’고 거듭 강조해 기자들 사이에 빈축을 사기도 했다.
윤석열 대통령과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은 지난 21일 서울 용산 청사에서 한-미 정상 기자회견을 열었고, 강인선 대통령실 대변인이 질의응답을 종료하려는 순간 ‘추가 질문’이 나왔다. 미국 쪽 동행기자단의 <워싱턴포스트> 기자는 윤 대통령을 향해 “지금 내각이 거의 다 남자”라며 “한국 여성들의 승진은 선진국 사이에서 일관되게 낮은 순위를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대선 중에 ‘여가부 폐지’하자고 제안했다”고 짚었다. 이 기자는 이어 “한국같이 세계경제를 리드하는 나라가 여성의 대표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어떤 역할을 해야 하냐. 그리고 윤 대통령은 한국의 성평등을 개선하기 위해 무엇을 할 거냐”고 물었다. 하지만 통역사는 “윤 대통령이 여가부 폐지를 제안했다”는 <워싱턴포스트> 기자의 발언은 쏙 빼놓고 통역했다. 이에 윤 대통령은 “공직사회에서 예를 들어서 내각의 장관이라고 하면, 그 직전의 위치까지 여성이 많이 올라오질 못했다”며 “아마도 여성에게 공정한 기회가 더 적극적으로 보장되기 시작한 지 오래되지 않았기 때문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어 “그래서 (여성들에게) 이런 기회를 더 적극적으로 보장할 생각”이라고 말하며 답변을 마무리했다.
통상 정상회담 기자회견에는 외교·안보 관련 현안 질문이 나오지만, 내각 구성 등 국내현안에 묻는 건 드문 일이다. 그만큼 윤석열 정부의 남성 편중 내각이 외신기자들 사이에서도 주목을 받은 것이다. 현재 내각 구성을 보면 한덕수 국무총리를 포함한 19명 국무위원 중 여성은 3명(김현숙·이영·한화진)이다. 차관 및 차관급 인사 41명 중에서도 여성은 2명(이노공·이기순)뿐이다.
공동 기자회견 진행방식을 두고도 논란이 일었다. 두 정상의 공동 기자회견은 17분가량 진행됐고, 한국과 미국 기자들이 각각 2명씩 질문했다. 이 과정에서 강 대변인은 “질문을 하나 해주면 좋겠다”고 거듭 말했지만, 미국 기자들은 이해가 가지 않는다는 반응을 보였다. <워싱턴포스트> 기자 역시 바이든 대통령에게 질문이 끝난 뒤 윤 대통령에게 추가로 남성 편중 내각에 대해 질문한 것이었다. 바이든 대통령도 이 말이 인상적이었는지 “질문은 하나만 할 수 있다고 했다”고 말하며 웃어 보였다. 기자석에서 “질문 하나만 더 하게 주시면 안 됩니까”라는 말이 나왔지만, 강 대변인은 “다음 일정이 많아서 이동해보겠다”며 기자회견을 마무리했다.
서영지 기자
yj@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