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3일 인도·태평양경제프레임워크(IPEF) 출범 회의에 화상으로 참석해 기조 연설을 하고 있다. 미국 백악관 누리집 갈무리
윤석열 대통령이 23일 인도·태평양 경제프레임워크(IPEF) 출범 회의에 화상으로 참석해 “지금 전 세계는 팬데믹, 공급망의 재편, 기후변화, 식량과 에너지 위기 등 다양하고 복합적인 위기에 직면해 있다”며 공급망 강화·디지털 전환·청정에너지와 탈탄소 분야의 협력 방안을 제시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후 일본 도쿄에서 열린 아이피이에프 회의에 화상 참석해 “글로벌 국가 간의 연대와 협력이 그 어느 때보다도 필요하다”며 이렇게 말했다. 이어 “역내 국가의 공동번영을 위한 아이피이에프의 출범은 의미가 매우 크다고 생각한다. 한국은 아이피이에프가 포괄하는 모든 분야에서 이러한 경험을 나누고 협력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아이피이에프는 중국 견제 목적이 강한 미국 주도의 아시아, 태평양 지역 경제통상협력체다. 중국이 주도하는 역내 포괄적 경제동반자협정(RCEP)을 견제하는 성격을 띤다.
윤 대통령은 “반도체·배터리·미래차 등 첨단 산업의 핵심 역량을 보유한 한국은 역내국과 호혜적 공급망을 구축할 것”이라며 “인공지능(AI), 데이터, 6지(G) 등 새로운 기술혁신을 주도하고 디지털 인프라 구축과 디지털 격차 해소에 기여하겠다”고 말했다. 또 “원자력, 수소, 재생에너지 등 청정에너지 분야의 높은 기술력을 바탕으로 과감한 투자를 통해 탄소 저감 인프라를 구축하고 기술 역량 강화에 이바지하겠다”고도 덧붙였다.
윤 대통령은 이날 아이피이에프 출범에 참여한 한국·일본·오스트레일리아·뉴질랜드·인도·싱가포르·말레이시아·필리핀·인도네시아·베트남·타이·브루나이 등 13개국 정상급 인사 가운데 5번째로 발언했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과 기시다 후미오 일본 총리, 나렌드라 모디 인도 총리는 도쿄에서 직접 회의에 참석했고, 윤 대통령을 비롯한 다른 정상들은 화상으로 참여했다.
대통령실은 이날 별도의 보도자료를 내어 아이피이에프 참여로 예상하는 기대 효과로 △공급망 안정 △인프라 진출 △신통상 규범 주도 △산업경쟁력 강화 등을 제시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오전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아이피이에프는 자유무역협정(FTA)처럼 어떤 콘텐츠를 가진 통상 협상이 아니고 인도·태평양 역내에서 경제 통상과 관련한 광범위한 룰을 만들어나가는 과정”이라며 “당연히 참여해야 하고, 그 룰을 만들어가는 과정에서 빠지면 국익에도 많은 피해를 만드는 것”이라고 밝혔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