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위공직자 재산공개] 20%는 ‘감소’ 신청
재산등록 대상인 고위 공직자의 80% 이상이 지난해에 재산이 늘었지만, 반대로 재산이 더 줄었다고 신고한 이들도 있다.
참여정부 국무위원 가운데 3명은 재산이 줄었다고 신고했다.
감소 1위는 1억1683만원이 줄어든 오거돈 해양수산부 장관으로, 토지분할에 따른 공시지가 하락이 원인이다. 그래도 오 장관의 재산은 39억6652만원에 이른다. 2위는 지난해 1억733만원이 줄어든 반기문 외교통상부 장관이다. 12억2159만원의 재산을 신고한 반 장관은 맏딸 혼례 관련 비용과 개인 차량구입 등을 재산 감소의 이유로 들었다. 3위는 오명 전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 장관으로 8984만원이 줄어든 19억5561만원으로 신고했다.
국회의원들의 경우엔 재산 감소자가 적지 않았다. 신고 의원 294명의 25.8%인 76명이 재산이 준 것으로 나타났다.
병원 신축자금 때문에 채무가 늘어난 정의화 한나라당 의원이 38억5천만원이나 감소해 1위를 기록했고 △안상수(한나라당) 5억2100만원 △정문헌(한나라당) 4억1300만원 △이용희(열린우리당) 2억9500만원 △안홍준(한나라당) 2억6100만원 △김용갑(한나라당) 2억5500만원 △임태희(한나라당) 2억1천만원 △서상기(한나라당) 2억700만원 △전병헌(열린우리당) 1억7200만원 △최병국(한나라당) 1억7200만원 △이재웅(한나라당) 1억4300만원 등이 1억원 넘게 재산이 줄었다.
일부 대법관들도 재산이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취임한 김황식 대법관은 부친이 등록 대상에서 제외되고 생활비를 지출하느라 2058만원이 줄었고, 박시환 대법관도 세금 납부 등으로 2660만원이 줄었다고 신고했다.
헌법재판소에서 이공현 재판관은 학비와 생활비 사용 등으로 1184만원, 조대현 재판관은 장남 결혼비와 모친 입원 및 장례비 지출 등으로 8226만원이 줄었다고 밝혔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