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29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로 출근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대통령실 정무수석비서관실 소속 비서관 2명이 29일 나란히 사의를 표명했다. 자진 사퇴 형식을 빌렸지만, 원활하지 못한 당-대통령실 관계 책임을 물어 사실상 경질한 것이란 해석이 나온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용산 대통령실에서 한 브리핑에서 “(두 사람이) 최근 자진 사퇴한 것으로 안다”고 말했다. 사퇴한 인사는 정무수석실 소속 홍지만 정무1비서관과 경윤호 정무2비서관이다. 정무수석 산하 세 비서관 가운데 자치행정비서관을 뺀 두 비서관이 물러난 것이다. 고위 관계자는 “대통령실 내에서 조직진단과 관련한 충분한 이야기를 나눴고 비서관들이 그에 따라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알고 있다”고 덧붙였다. 대통령실은 또 이날 인사위원회를 열어 내부 문건 유출 사태에 대한 관리 책임을 물어 시민사회수석실 소속 비서관 1명에 대해 면직 처분을 내렸다.
이런 가운데 비서관 교체의 여파가 이진복 정무수석과 강승규 시민사회수석 등을 포함해 다른 수석급까지 미칠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고위 관계자는 “국민의 관점에서 부족한 부분이 있다면 끊임없이 보완하고 채워나가는 것, 대통령 말에서 정답을 드릴 수 있을 거 같다”며 “지위고하를 막론하고 예외는 있을 수 없다”고 말했다. 대통령실 한 관계자는 “내부에 피바람이 불고 있다는 말이 과언은 아니다”라며 “말 한마디, 행동 하나하나가 조심스럽고 누구나 대상이 될 수 있다는 분위기”라고 전했다.
한편, 이날 윤석열 대통령은 용산 대통령실 출근길에 기자들과 만나 내부 인적 쇄신에 대한 여지를 열어뒀다. 윤 대통령은 “국가에 대한 헌신적 자세나 업무 역량은 늘 최고도로 유지돼야 한다”며 “가장 중요한 기관인 대통령실은 국민에게 가장 헌신적이고, 가장 유능한 집단이 돼야 국민에게 제대로 봉사할 수 있다”고 말했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