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석열 대통령이 14일 용산 대통령실에서 열린 국민의힘 반도체산업경쟁력강화특별위원회 초청 오찬 간담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대통령실사진기자단
윤석열 대통령이 14일 국민의힘 반도체산업경쟁력강화특별위원회(반도체특위) 소속 의원들과 오찬을 하며 “ 반도체는 산업의 쌀이자 4차산업혁명에서 가장 중요한 분야”라며 “ 우리 생사가 걸린 문제 ” 라고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이날 낮 용산 대통령실 2층 누리홀에서 반도체특위 위원들과 학계·산업계 인사들과 만나 “대통령으로서 국민의 미래 먹거리를 늘 준비하겠다. (반도체는) 어떻게 보면 장기 과제도 아니고 실시간 (대응)해야 하는 현안”이라며 이렇게 말했다.
윤 대통령은 이 자리에서 “인재 양성과 선제적 투자는 당장의 과제”라며 “민간과 시장을 정부가 적극 뒷받침하겠다. 시장원리로 이뤄지지 않는 부분, 선제적 투자가 필요한 부분은 정부가 적극적으로 하겠다. 그러려면 정부도 기업 마인드가 있어야 한다”고 강조했다고 이재명 대통령실 부대변인이 브리핑에서 전했다.
국민의힘 반도체특위는 삼성전자 메모리사업부 상무 출신인 양향자 무소속 의원이 위원장을 맡고 있다. 이날 오찬에는 양 의원과 함께 송석준 부위원장, 김영식‧양금희‧조명희‧윤주경 의원이 참석했다. 학계에선 김정호 카이스트 전기전자공학부 교수, 정덕균 서울대 전기‧정보공학부 교수, 황철성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 김용석 성균관대 전자전기공학부 교수, 박동건 삼성디스플레이 상근고문, 안기현 한국반도체 산업협회 전무 등이 참석했다.
양향자 의원은 “반도체 산업은 1분 1초로 순위가 바뀌는 특성이 있다”며 자신이 지난달 발의된 이른바 ‘케이(K)칩스법’의 국회 통과에 힘써달라고 윤 대통령에게 건의했다. 케이칩스법은 국가첨단전략산업 강화 및 보호에 관한 특별조치법과 조세특례제한법 개정안 등 두 건을 묶은 꾸러미 법안으로 반도체 등 미래 첨단산업 육성을 위한 내용이 뼈대다.
윤 대통령은 지난 6월 국무회의에서 이종호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의 반도체 특강을 마련하는 등 취임 뒤 반도체 산업을 우리나라의 ‘미래 먹거리’로 강조하고 있다.
김미나 기자
mina@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