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헌 개정 및 재창당 결의안 채택 등의 안건을 논의하기 위해 지난 17일 국회에서 열린 정의당 당대회에서 참석자들이 구호를 외치고 있다. 연합뉴스
연이은 선거 패배로 ‘존립 위기’에 놓인 정의당이 당명 개정을 비롯한 재창당 작업을 오는 2023년까지 마무리하기로 결의했다. ‘노동에 기반을 둔 사회연대정당’을 내세운 재창당 작업은 다음달 선출되는 새 지도부가 주도하게 된다.
정의당은 지난 17일 국회에서 열린 제11차 정기 당대회에서 대의원 만장일치로 재창당 결의안을 채택했다. 정의당은 결의안에서 당명 변경과 함께 강령·당헌·당규의 개정 등 재창당 작업을 내년까지 마무리하기로 뜻을 모았다. 정의당은 “새로운 진보정당을 만들기 위한 정의당의 지난 10년은 결과적으로 실패했다”며 “정의당은 거대양당을 공격하면서 대안의 정치세력이 필요하다고 주장했지만 왜 정의당이 대안이어야 하는지를 입증하지 못했다”고 반성했다.
재창당 결의안에는 “(정의당의) 취약한 지지기반이 당이 휘청거리는 허약함의 원인”이었다며 ‘노동에 기반한 사회연대정당’을 지향점으로 삼아야 한다는 내용이 담겼다. 결의안은 “어떤 정당도 구체적인 지지 기반 없이 성장·발전할 수 없으며 진보정당 역시 노동을 일차적 지지기반으로 형성하지 않으면 존립 자체가 불가능하다”며 “그것(노동)을 바탕으로 농민, 상인, 청년, 여성 등 각계각층으로 확대돼야 한다”고 밝혔다.
‘더불어민주당 2중대’ 비판에 대해서는 “연합정치의 전술적 활용”이 해법으로 제시됐다. 결의안은 “연합정치에만 매몰되어서도 안되지만 이를 무조건 배제하는 것도 현실의 정치세력이 취할 길이 아니다”라며 “연합정치는 ‘전략’이 아니라 정의당의 정치를 실현하기 위해 계기별, 사안별로 유연하게 활용할 수 있는 ‘전술’일 뿐”이라고 밝혔다.
재창당 작업은 다음 달 19일 선출되는 새 지도부 손에 달렸다. 정의당은 오는 29일부터 다음 달 13일까지 2주 동안 전국 순회 유세와 텔레비전 토론회 등 선거운동을 벌인 뒤, 10월14~19일 진행되는 전당원 투표로 지도부를 뽑는다. 이정미 전 의원과 조성주 전 정책위 부의장, 정호진 전 수석대변인 등이 당대표 출마를 고민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임재우 기자
abbado@hani.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