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권형 총리’ 유지하느냐가 핵심 변수
정치인·관료 아닌 새얼굴 물색 관측도
정치인·관료 아닌 새얼굴 물색 관측도
노무현 대통령은 이해찬 국무총리의 후임으로 어떤 인물을 점찍을까?
후임 총리 인선 기준은 후반기 국정운영에서 노 대통령이 염두에 두고 있는 총리의 구실과 맞물려 있다. 그중에서도 이해찬 총리처럼 ‘분권형 총리’의 개념을 유지하느냐가 핵심 변수다. 지방선거를 앞두고 야당의 거친 공세가 예상되는 상황에서 총리 인준청문회의 벽을 통과할 수 있는 인물이어야 한다는 점도 노 대통령의 선택을 제약하는 요인이다. 이런저런 상황을 참작해야 하는 노 대통령으로선 후임자 인선에 심사숙고할 수밖에 없다.
노 대통령이 현재의 분권형 국정운영 기조를 유지하려 한다면 선택은 더욱 어려워진다. 정책적 역량과 정치적 리더십을 겸비한 ‘실세형 총리’를 찾기가 쉽지 않기 때문이다. 이런 개념의 총리 후로보는 노 대통령이 고건 전 총리 후임으로 강하게 집착했던 김혁규 열린우리당 의원과 대통령직인수위원장을 지낸 임채정 열린우리당 의원, 환경부 장관 출신의 한명숙 열린우리당 의원, 정세균 산업자원부 장관 등의 이름이 거론된다.
반면, 노 대통령이 ‘관리형 총리’를 내세워 직접 내각을 장악하려 할 가능성도 있다. 관리형 총리 카드는 내각의 중립성을 강조할 수 있고 야당도 크게 반대하기 어렵다는 장점이 있다. 이 경우엔 강철규 전 공정거래위원장과 전윤철 감사원장, 박봉흠 전 청와대 정책실장 등 관료 출신들이 후보군으로 떠오를 가능성이 있다.
노 대통령이 강력한 정치개혁 추진을 명분으로 정치인도 관료도 아닌 제3의 영역에서 총리 후보를 물색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이런 맥락에서는 박원순 변호사와 백낙청 전 서울대 교수, 정운찬 서울대 총장, 문국현 유한킴벌리 사장 등이 거명된다.
열린우리당 일각에서는 후임 총리 인선을 정치지형 재편의 촉매제로 활용해야 한다는 의견도 조심스럽게 제기하고 있다. 이를테면, 국민중심당 대표인 심대평 충남지사를 총리로 내세워 ‘제2의 호남-충청 연합’을 시도하자는 의견이 있다. 국민중심당 의석 5석과 열린우리당의 143석, 일부 무소속 의석을 합쳐 국회 과반의석을 확보함으로써 안정적 국정운영을 도모하자는 논리다. 이 카드는 한나라당이 반대하더라도 국회 총리 청문회를 안정적으로 통과할 수 있고, 5·31 지방선거는 물론, 대선구도의 지형을 뒤흔들 수 있다.
조금 다른 맥락에서 일부 의원들은 대구·경북지역 민심을 고려해 이의근 경북지사도 입에 올리고 있다.
임석규 기자 sk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