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자체·시민단체 긍정평가
주민들은 “국책사업 취지 축소” 23일 여야의 신행정수도 후속대책 합의를 두고 대전시 등 충청권은 ‘수용할 수밖에 없지 않으냐’는 반응이 대세를 이뤘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여야의 합의 내용은 최종 결론이 아니라 신행정수도 건설 목표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전단계 조처로 볼 수 있다”며 “지속적인 원안 추진을 위해 반대세력에 대한 설득과 국민적 동의도 필요해, 미흡하지만 수용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대부분의 시민단체들도 “합의 내용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나 국가 균형발전을 위한 의미있는 출발점”이라며 대체로 받아들이는 자세를 보였다. 지방분권운동 대전본부는 성명을 내어, “왜곡된 수도권 이기주의 세력의 음해와 일부 정치세력의 정략적 방해를 뚫고 이룬 국민의 승리”라고 환영한 뒤, “다만, 이번 합의는 참된 균형발전에는 미약한 출발점”이라고 평가했다. 행정중심도시 이전 지역인 연기군 남면 주민대책위 안원종 공동대표도 “정치권 합의에 의미를 두다보니 행정수도 건설이라는 국책사업 취지가 축소됐다”고 말했다. 대전 청주/송인걸 오윤주 기자 igsong@hani.co.kr
주민들은 “국책사업 취지 축소” 23일 여야의 신행정수도 후속대책 합의를 두고 대전시 등 충청권은 ‘수용할 수밖에 없지 않으냐’는 반응이 대세를 이뤘다. 염홍철 대전시장은 “여야의 합의 내용은 최종 결론이 아니라 신행정수도 건설 목표를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전단계 조처로 볼 수 있다”며 “지속적인 원안 추진을 위해 반대세력에 대한 설득과 국민적 동의도 필요해, 미흡하지만 수용할 수밖에 없다”고 밝혔다. 대부분의 시민단체들도 “합의 내용이 기대에 미치지 못하나 국가 균형발전을 위한 의미있는 출발점”이라며 대체로 받아들이는 자세를 보였다. 지방분권운동 대전본부는 성명을 내어, “왜곡된 수도권 이기주의 세력의 음해와 일부 정치세력의 정략적 방해를 뚫고 이룬 국민의 승리”라고 환영한 뒤, “다만, 이번 합의는 참된 균형발전에는 미약한 출발점”이라고 평가했다. 행정중심도시 이전 지역인 연기군 남면 주민대책위 안원종 공동대표도 “정치권 합의에 의미를 두다보니 행정수도 건설이라는 국책사업 취지가 축소됐다”고 말했다. 대전 청주/송인걸 오윤주 기자 igsong@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