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건 등 외부인사 포함 대선후보 “국민이 뽑게”
“사수” 외치던 참정련도 공감대…곧 개선팀 설치
“사수” 외치던 참정련도 공감대…곧 개선팀 설치
열린우리당이 공직후보 선출제의 뼈대인 기간당원제의 손질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정당 민주화와 상향식 당 운영이라는 애초의 취지와 달리 당비대납과 종이당원 문제 등 상당한 부작용을 드러낸 탓이다.
특히 여당 안에선 이번 기회에 2007년 대선후보 경선제도를 당원이 아닌 국민대중 누구라도 참여하는 미국식 ‘오픈 프라이머리’제도(개방형 예비선거제)로 바꾸기 위해 기간당원제를 전면 폐지해야 한다는 주장까지 나오고 있어 결과가 주목된다.
열린우리당의 한 핵심 당직자는 25일 “애초 ‘당원이 주인되는 정당’을 만들자는 취지로 도입된 기간당원제도가 당비대납과 종이당원 등의 문제점을 노출하며 ‘동원형 기간당원제’로 변질됐다”며 “지난 22일 당 비상대책위원들의 심야토론에서 기간당원제를 손보자는 공감대가 형성됐다”고 말했다. 열린우리당은 조만간 기간당원제 개선을 위한 태스크포스를 설치할 계획이다.
여당의 기류에서 관심을 끄는 대목은 2007년 대선을 겨낭한 기간당원제 폐지론이다. 선거에 패배할 때마다 기간당원제를 조금씩 손질해온 차원을 넘어, 내년 대선에서 한나라당에 반대하는 모든 세력이 동등하게 참여해 ‘범민주 단일후보’를 뽑을 수 있도록 미국식 ‘오픈 프라이머리’제도를 도입하기 위해 기간당원제를 완전히 포기하자는 것이다. 여당의 한 핵심 인사는 “여당의 통합이나 후보 단일화보다 더 중요한 것이 대중 통합과 대중 단일화”라며 “이를 실현하려면 비당원 대중이 대선후보 선출에 직접 참여하는 미국식 오픈 프라이머리제도를 도입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 인사는 특히 “현재 당직 및 공직후보 선출권을 갖고 있는 수십만명의 열린우리당 기간당원을 그대로 놔두고 오픈 프라이머리제도를 도입할 경우 참여 정당이나 후보가 없을 것인 만큼 기간당원제를 폐지하는 게 불가피하다는 의견이 많다”고 덧붙였다. 껍데기만 남은 기간당원제를 고수하기보다는 대선후보 등 공직후보 선출권을 국민에게 돌려줘 민주대연합의 진정성을 드러내고, 고건 전 총리나 박원순 변호사 등 당 안팎에서 거론되는 외부의 잠재적 대선주자들에게까지 동등한 참여 기회를 열어주자는 논리다.
그동안 기간당원제 도입 및 사수에 목을 맸던 참여정치실천연대(참정련)도 최근 제도 수정이 불가피하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구체적인 개선안 마련에 나설 방침이다. 참정련 소속인 한 의원은 “참정연이 주장해온 기간당원제를 근거로한 상향식 정당 운영 방식이 타당한지 고민하는 단계”라며 “제도 자체를 없앨 수는 없지만 기간당원의 월 당비를 1만원으로 높여 이들에게는 당직 선출권만 주고, 대선주자 등 공직후보는 국민참여경선제로 결정하도록 분리하는 방안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당직은 당원에게, 공직은 국민에게’라는 근본으로 돌아가겠다는 것이다.
신승근 기자 skshin@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