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청 ‘개각 사전조율’ 부인…“민심만 전달”
당 한쪽선 ‘재산세-김병준 입각’ 맞바꾸기 거래 추측도
당 한쪽선 ‘재산세-김병준 입각’ 맞바꾸기 거래 추측도
노무현 대통령이 지난달 28일 김근태 열리우리당 의장과 따로 만나 정국 현안을 조율한 것으로 확인됐다. 여당 지도부와의 청와대 만찬 회동(6월29일) 하루 전이다. 청와대 쪽 요청으로 이뤄진 두 사람의 만찬 회동은 2시간 남짓 이어졌으며, 이병완 비서실장이 배석했다고 우상호 열린우리당 대변인이 4일 밝혔다. 뒤늦게 공개된 두 사람의 회동이 새삼 이목을 끄는 것은, 그 이후 발표된 재산세 부담 경감 방안과 7·3 개각 사이에 상관관계가 존재할 가능성 때문이다. 당이 요청한 세금 경감 방안을 청와대가 받아들이는 대신, 당은 김병준 교육부총리 기용에 입을 다무는 식으로 일종의 ‘거래’가 이뤄지지 않았느냐는 추측도 벌써 당 한쪽에서 나오고 있다. 이런 소문이 사실이라면 김 의장은 곤혹스러운 처지로 내몰릴 수밖에 없다. 이에 대해선 청와대와 김 의장 쪽 모두 펄쩍 뛰며 강력히 부인하고 있다. 청와대 핵심 관계자는 “두 분의 회동에서 김병준 교육부총리 내정자에 대한 얘기는 전혀 없었다”고 말했다. 김근태 의장도 “개각 얘기까지 할 여유가 없었다”며, 개각에 대한 사전조율 가능성을 부인했다고 우상호 대변인이 전했다. 우 대변인은 “개각이 가시화된 것은 적어도 지도부 만찬 이후였다”며 “두 분의 회동과 개각이 연관없다고 100% 확인해드릴 수 있다”고 밝혔다. 그렇다면 두 사람은 무슨 얘기를 나눴을까. 김 의장 쪽 관계자는 “김 의장은 민심을 가감없이 전달했고, 노 대통령도 자기 생각을 허심탄회하게 털어놓은 것으로 알고 있다”고 말했다. 이와 관련해 우 대변인은 이날 기자간담회를 열어, 노 대통령과 김 의장의 회동에서 오간 대화 내용을 세 가지로 정리해 발표했다. 먼저, 김 의장이 5·31 지방선거 참패 이후 비상대책위 구성 과정의 소회와 상황 돌파를 위한 각오를 밝히자, 노 대통령은 “당에 도울 일이 있으면 무엇이든 돕겠다”고 화답했다고 한다. 이어 김 의장은 “투기 근절 의지를 훼손하지 않는 선에서 부동산 정책을 기술적으로 보완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을 전달했다. 이에 노 대통령은 즉답을 피한 채 “경청하고 검토해보겠다”고 신중한 태도를 보였다. 이 대목에서 두 사람의 얘기가 길어졌다고 한다. 노 대통령의 탈당에 대한 애기도 오갔다. 김 의장은 책임정치의 측면에서 대통령이 여당의 당적을 버리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는 의견을 밝혔고, 노 대통령은 “탈당은 한번도 생각해본 적이 없다”고 잘라 말했다. 노 대통령이 다음날 당 지도부와의 만찬에서 “절대로 탈당하지 않겠다”고 밝힌 것과 같은 맥락이다. 임석규 이지은 기자 sk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