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8일 김병준 부총리 겸 교육인적자원부 장관 내정자에 대한 국회 교육위 인사청문회에선 ‘7·3 개각’ 당시 그의 부총리 지명에 강력히 반발했던 여당의 모습은 찾아보기 힘들었다. 열린우리당 의원들은 오히려 ‘김병준 감싸기’에 적극적으로 나섰다. 반면, 한나라당 의원들은 ‘코드 인사’와 자녀의 외국어고 편입학, 병역 문제 등을 매섭게 몰아붙였다.
이주호 한나라당 의원은 “김 내정자는 과거 소신과 배치되는 현행 교육부 정책을 수용하고 있는데, 이는 ‘코드 인사’라는 사실을 뒷받침하는 것”이라며 “대통령을 잘 아는 사람이 아니라 교육을 잘 아는 사람으로 다시 임명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김 내정자는 “덕과 소양이 부족해서 논란이 있었던 것 같아 송구스럽게 생각한다”고 답했다.
주호영 한나라당 의원은 “병적기록부에 ‘중졸’로 기록돼 있고, 신체등급은 현역 근무 대상인 3등급인데 방위병 근무를 했다”며 의혹을 제기했다. 김 후보자는 “병적기록부 원본이 분실됐다는 얘기를 들었고, 어릴 때 사고로 손가락 두 개를 잃었다”고 의혹을 일축했다.
정문헌 한나라당 의원은 “내정자의 큰딸은 6개월 이상 외국에 거주한 적이 없는데 어떻게 특례로 시험을 볼 수 있었느냐”고 물었다. 김 내정자는 “두 딸이 외국생활을 해서 (한국 학교에) 적응하는 데 고통을 겪었기 때문에, 비슷한 경험이 있는 학생들이 많은 학교에 보낸 것”이라며 절차상 문제가 없다고 해명했다.
여당 의원들은 ‘해명성 질의’를 통해 김 내정자를 옹호했다. 이은영 의원은 “(김 후보자의) 한 자녀는 일본에서도 어렵다는 자격증을 갖고 있는데다, 해외에 체류했던 학생이 외고에 들어갈 때는 편입이 용이한 방법이었다”고 말했다. 여당 의원들은 권철현 위원장으로부터 “해명은 내정자 본인에게 맡기고 질의를 하라”는 지적을 받았다.
청문회가 끝난 뒤 열린우리당은 교육위원 9명은 모두 ‘적격’ 의견을, 한나라당은 위원장을 뺀 6명 모두가 ‘부적격’ 의견을 밝혔다. 최순영 민주노동당 의원은 답변을 유보했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