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 전 대통령이 지난 12일 동교동 ‘김대중도서관’에서 열린 ‘김대중 전 대통령 도쿄 피랍 생환 33돌’ 기념행사에 동교동계 인사들과 함께 참석했다. 연합뉴스
DJ생환 33돌행사 한자리모여
“호남 분열론 대선 못치러” 공감
범여권통합 ‘가설’ 구체화까진
주도권·노대통령 의중 등 변수
“호남 분열론 대선 못치러” 공감
범여권통합 ‘가설’ 구체화까진
주도권·노대통령 의중 등 변수
동교동 출신들이 동교동에 모였다. 지난 12일 김대중 도서관에서 열린 김대중 전 대통령 도쿄 피랍 생환 33돌 축하 자리에 참석한 것이다. 정치를 얘기하기엔 적절하지 않은 자리였지만, 관심사는 자연히 정치로 모아졌다. 기자들이 몇몇 사람을 카메라 앞에 불러 세워 동교동계 중심의 정계개편 가능성에 대해 질문을 했다.
“거사를 하기 위해 모인 것은 아니다. (동교동계가) 공감대를 이루는 ‘계기’는 될 수 있을 것이다. 지혜롭게 논의하면 생산적이 될 것이고, 아니면 비생산적이 될 것이다.”(한화갑 민주당 대표)
“분당 이후 동교동계 인사들이 이렇게 모인 것은 처음이다. 옛 동교동 비서진들 사이에서는 마음 속으로 공감하는 바가 있을 것이다.”(배기선 열린우리당 의원)
“한 식구였던 우리가 떨어져 있었는데, 같이 자리를 해서 감회가 깊다. 새로운 역사 창조의 주역이 돼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염동연 열린우리당 의원)
설훈 전 민주당 의원도 “국민에게 물어보면 답이 나와 있다”고 거들었다. 행사장엔 이들 말고도 열린우리당의 정동채 유선호 이석현 전병헌 최성 의원, 민주당의 김옥두 정균환 이윤수 최재승 김충조 배기운 전 의원이 참석했다. 김태랑 국회 사무총장, 박금옥 국회의장비서실장, 박광태 광주시장, 박준영 전남지사도 나타났다.
김 전 대통령은 “내가 사랑하는 동지들과 의견교환은 하지만, 내 자신이 정치에 개입하는 것은 누구에게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말했다. 자신이 직접 정치를 하지는 않겠다는 것이다.
그렇지만 최근 정가에는 결국 동교동계가 범여권 통합의 중심이 될 것이라는 ‘가설’이 나돌고 있다. 범여권으로서는 호남 재통합이 내년 대선을 앞두고 절체절명의 과제인데, 동교동계가 그 구실을 하기에 적합하다는 것이다.
그러고 보면, 열린우리당 비상대책위원 15명 가운데 5명이 ‘김대중 사람’이다. 특히 4명은 김 전 대통령 비서 출신이다.
문희상 의원은 동교동 비서와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 정동채 의원은 아태재단 비서실장을 지냈다. 배기선 이강래 의원도 동교동 비서 출신이다. 김한길 원내대표는 김대중 당선자 비서실장, 청와대 정책기획수석비서관을 했다. ‘뿌리’가 같아서인지 생각도 비슷하다. 호남이 분열된 상태에서는 내년 대선을 치를 수조차 없다고 본다. 근거는 지역별 인구다. 호남(광주·전남북)은 530만명으로, 대구·경북 520만명, 부산·울산·경남 780만명에 비해 턱없이 적다는 것이다. 충청은 480만명이다. 따라서 ‘호남과 충청의 통합, 그리고 플러스 알파’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게 이들의 계산이다. 물론 재통합이 쉽지는 않다고 한다. 걸림돌은 ‘주도권’과 ‘노무현 대통령’ 두 가지다. 호남에서의 주도권은 엎치락 뒤치락하고 있다. 2003년 분당 때는 민주당이 우세했다. 열린우리당 창당의 명분이 부족했던 탓이다. 그러나 2004년 민주당이 노 대통령 탄핵소추를 주도하면서 4·15 총선에서 열린우리당이 호남을 휩쓸었다. 2년 뒤 5·31 지방선거에선 민주당이 다시 호남의 ‘주인’이 됐다. 그래도 국회 의석은 여전히 열린우리당이 압도적이다. 노 대통령 문제는 좀 복잡하다. 열린우리당에는 ‘영남 세력’과 ‘친노 세력’도 꽤 된다. 따라서 민주당과 합치려면 당내 투쟁을 피할 도리가 없다. 자칫하면 당이 양분된다. 익명을 요구한 열린우리당 핵심 관계자는 13일 이렇게 말했다. “결국 대세를 따라갈 것이다. 노 대통령은 중립지대에 안전하게 모시면 된다.” 바야흐로 정치의 계절이다. 성한용 선임기자 shy99@hani.co.kr
문희상 의원은 동교동 비서와 청와대 정무수석비서관, 정동채 의원은 아태재단 비서실장을 지냈다. 배기선 이강래 의원도 동교동 비서 출신이다. 김한길 원내대표는 김대중 당선자 비서실장, 청와대 정책기획수석비서관을 했다. ‘뿌리’가 같아서인지 생각도 비슷하다. 호남이 분열된 상태에서는 내년 대선을 치를 수조차 없다고 본다. 근거는 지역별 인구다. 호남(광주·전남북)은 530만명으로, 대구·경북 520만명, 부산·울산·경남 780만명에 비해 턱없이 적다는 것이다. 충청은 480만명이다. 따라서 ‘호남과 충청의 통합, 그리고 플러스 알파’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게 이들의 계산이다. 물론 재통합이 쉽지는 않다고 한다. 걸림돌은 ‘주도권’과 ‘노무현 대통령’ 두 가지다. 호남에서의 주도권은 엎치락 뒤치락하고 있다. 2003년 분당 때는 민주당이 우세했다. 열린우리당 창당의 명분이 부족했던 탓이다. 그러나 2004년 민주당이 노 대통령 탄핵소추를 주도하면서 4·15 총선에서 열린우리당이 호남을 휩쓸었다. 2년 뒤 5·31 지방선거에선 민주당이 다시 호남의 ‘주인’이 됐다. 그래도 국회 의석은 여전히 열린우리당이 압도적이다. 노 대통령 문제는 좀 복잡하다. 열린우리당에는 ‘영남 세력’과 ‘친노 세력’도 꽤 된다. 따라서 민주당과 합치려면 당내 투쟁을 피할 도리가 없다. 자칫하면 당이 양분된다. 익명을 요구한 열린우리당 핵심 관계자는 13일 이렇게 말했다. “결국 대세를 따라갈 것이다. 노 대통령은 중립지대에 안전하게 모시면 된다.” 바야흐로 정치의 계절이다. 성한용 선임기자 shy99@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