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행정도시법 통과’ 갈라진 한나라 박근혜 대표 “당론 책임 다한 것” 정면대응 측근도 “어차피 제갈길 갈 사람들”거들어
한나라당의 내홍에 대한 박근혜 대표의 결기가 간단치 않다. 행정도시건설 특별법의 통과에 반대하는 의원들이 ‘당내 당’ 성격의 비상대책위를 만들고 당직자들의 사퇴가 이어지는 위기 상황이지만, 박 대표는 어정쩡한 ‘봉합’ 대신 ‘정면대응’ 쪽으로 방향을 잡은 것 같다. 박 대표는 3일 “당 대표는 당론을 지킬 책임이 있다”며, 특별법 처리 합의에 흠이 없다고 거듭 밝혔다. 측근들은 전날 밤 국회 본회의 표결 때 박 대표가 기권한 것에 대해 적극 해명을 시도했다. 유승민 대표비서실장은 “박 대표가 재석 표시를 하고 찬성표를 던지려는 순간 투표가 종료돼 결과적으로 기권이 됐다”며 “특별법에 대한 박 대표의 찬성 의지는 확고했다”고 강조했다.
|
||||||
지도부와 절연 · 장외투쟁 선언 기세등등
행정도시 건설 특별법 처리에 반대해 3일 ‘수도 지키기 투쟁위원회’를 구성한 한나라당내 반대파 의원들의 기세가 거침이 없다. 잇단 당직 사퇴에 이어 참여 의원들의 서명을 받아 의원총회 소집을 요구했고, 개별적으로는 지도부 퇴진론을 제기하는 등 사실상 당내 전면전에 나서는 양상이다. 투쟁위는 이날 공식적으로 지도부 사퇴를 요구하지는 않았으나, 책임을 묻겠다는 뜻을 분명히 했다. 이재오 의원은 이날 라디오방송에 출연해 “양식있는 정치인이라면 우리들이 거론하기 전에 국민 여론에 따라 스스로 책임을 질 것”이라며 간접적으로 지도부 퇴진을 언급했다. 심재철 의원도 “지도부가 당을 제대로 끌고 갈 수 없을 것”이라고 가세했다. 투쟁위 핵심 관계자는 “심리적으로는 현 지도부와 사실상 절연 상태에 이르렀다”며 “우리가 사퇴를 요구하지 않더라도 여론에 따라 현 지도부가 결국 능력부족이라는 평가를 받을 것”이라고 말했다. 투쟁위가 지도부 사퇴를 전면에 내세우지 않은 것은 일단 숨고르기를 하면서 공세의 수위를 조절해, 세확산을 꾀하려는 것으로 보인다. 이재오 의원은 “우리가 지도부 사퇴를 요구하면 당권을 노린 것으로 오해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여기엔 박근혜 대표의 리더십이 당내에서 누가 흔든다고 쉽게 허물어지지 않을 것이라는 판단도 작용한 것으로 보인다. 투쟁위 관계자는 “박 대표의 리더십은 당내에서 지도력을 인정받아서가 아니라, 대중적인 인기를 바탕으로 형성된 것”이라며 “따라서 대중적인 인기가 떨어지지 않는 한 박 대표의 리더십이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투쟁위가 당내투쟁보다 대중적인 장외투쟁 쪽으로 방향을 잡은 것도 이런 판단과 맥이 닿아 있는 것으로 보인다. 투쟁위는 이날 회견에서 앞으로 행정도시특별법에 반대하는 외부 단체들과 연대해 위헌심판 청구에 집중하겠다는 뜻을 밝혔다. 특별법에 반대하는 여론을 동원해 투쟁의 동력을 확보하려는 의도로 풀이된다. 하지만 이런 호기로운 기세와 달리, 투쟁위는 결속력의 한계도 내보이고 있다. 의원총회 소집요구가 지도부에 의해 묵살당했는데도 국회도서관에서 열린 투쟁위 대책회의에는 불과 15명의 반대파 의원들만 모습을 나타냈다. 이번 사태가 당권 및 대선후보 경쟁과 얽혀있다는 당 안팎의 시선도 투쟁위로서는 부담이 될 수밖에 없다. 임석규 기자 sky@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