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회운영위서 한나라 “권력형 비리” 주장
여야는 25일 국회 운영위원회에서 ‘바다이야기’ 등 사행성 성인오락기 파문에 대한 청와대의 책임론을 집중적으로 따졌다.
한나라당은 노무현 대통령의 조카인 노지원씨가 이사로 재직했던 우전시스텍에 대한 정부 지원금 특혜 의혹 등을 제기하며, 이번 파문이 ‘권력형 비리’라고 주장했다. 열린우리당은 이에 대해 ‘근거없는 정치공세’라고 반박하면서도, 정책 실패에 대해서는 노 대통령이 사과하라고 요구했다.
김양수 한나라당 의원은 “바다이야기 유통업체인 지코프라임에 인수된 우전시스텍은 노지원씨를 이사로 영입한 뒤 65억원의 특혜성 융자를 받았다”고 주장했다. 같은 당 신상진 의원도 “검찰이 지코프라임을 압수수색하기 전날 노씨가 이사직을 그만 둔 것은 기막힌 우연”이라고 말했다.
이병완 청와대 비서실장은 이에 대해 “친인척 관리 차원에서 철저하게 조사했고, 관련성이 전혀 없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참여정부에서 ‘권력 게이트’는 결코 없다”고 반박했다.
청와대의 ‘책임’을 추궁하는 데는 여당 의원들이 더 적극적이었다. 정성호 열린우리당 의원은 “지난해 9월 총리실에 태스크 포스가 구성됐다는데, 상당히 오래 전에 청와대 민정 계통에서 파악했다면 진작 대응에 나섰어야 하는 게 아니냐”고 따졌다. 이 비서실장은 “결과적으로 이런 문제가 야기된 것에 대해 정부로서 많은 책임감을 느끼고 있다”고 답했다.
그러나 이 비서실장은 ‘노 대통령이 사과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주승용·장경수 의원 등의 질의에, “검찰 수사나 감사원 감사를 통해 전체적 진상이 파악하고 책임 소재를 분명히 가린 뒤 사과하는 게 합당한 절차”라며 ‘선 진상규명, 후 사과 여부 결정’이라는 기존 태도를 고수했다.
주 의원은 “정부가 정책에 실패해 이런 파장을 일으켰다면, 잘잘못은 뒤에 따지더라도 대통령이 나서서 수습해야 한다”며 “대통령 사과가 그렇게 어려운 것인지 안타깝고 우려스럽다”고 말했다. 노웅래 의원은 “이번 사태에 대해 해명하는 태도가 너무 거칠고 권위적이다”라며 청와대 참모들을 비판하기도 했다.
이지은 기자 jieuny@hani.co.kr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