비공식접촉 ‘압박’ 예상 … 양국 시민단체 연대 기대
한일 관계에 다시 ‘교과서 왜곡 파도’가 밀려오고 있다. 일본 후소사가 문부성에 검정을 신청한 중학교용 교과서는 일제의 식민지배를 합리화하는 우익들의 왜곡된 역사의식을 적나라하게 담고 있는 것으로 11일 밝혀졌다. 이들의 교과서 왜곡은 올해 한일 관계의 지형을 흔들고 방향을 바꿀 수 있는 폭발력을 안고 있다. 일본 우익들의 도발은 최근 일본 사회에 불고 있는 우경화 바람을 타고 부쩍 기세를 올리고 있다. 일부 정치인들의 잇따른 망언과 시마네현 의회의 ‘다케시마(독도의 일본 이름)의 날’ 제정 시도는 이런 경향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우익들의 힘이 이처럼 세지면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는 수사에 그칠 수밖에 없다. 역사 교과서 왜곡 문제에 대해 정부는 일단 ‘조용한 외교’로 접근하고 있다. 교과서 내용이 최종적으로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정을 요구할 경우 오히려 일본 우익들을 자극해 일본 정부의 발을 묶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보인다. 다만 비공식적인 접촉을 통해선 한국민들의 우려를 전달하고 이를 검정 과정에 반영하도록 ‘압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외교부 당국자는 “일본 스스로 과거를 직시하고 역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혜를 찾는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교과서 왜곡을 주도하는 일본 보수우익 세력과 이를 비판하는 대다수 양심적인 일본 국민 및 진보적인 세력을 분리해 대응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과거사 문제가 불거졌을 때 보수우익 세력과 구분하지 않은 채 일본을 싸잡아 비난함으로써 일본 내부의 자정노력을 지원하지 못했다는 판단 때문이다. 정부 당국자는 “중국은 이미 과거사를 왜곡하는 이들을 군국주의자, 보수세력 등으로 불러 일본 국민과 분리하고 있다”며 “우리도 이렇게 함으로써 한일 관계 전체를 해치지 않고 일본 내부의 비판적인 움직임을 장려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정부는 한일 시민단체들의 연대에도 기대를 걸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일본 내에도 우익에 반대하는 시민단체들이 많이 활동하고 있다”며 “정부는 한·중·일 공동 역사부교재 발간 등 이들의 활동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동시에 지속적인 공동 역사연구를 통해 역사인식의 괴리를 극복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지난해 말 일본 이부스키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는 올봄 만료되는 공동 역사연구를 연장하기로 원칙적으로 합의한 바 있다.
유강문 기자 moon@hani.co.kr
한일 관계에 다시 ‘교과서 왜곡 파도’가 밀려오고 있다. 일본 후소사가 문부성에 검정을 신청한 중학교용 교과서는 일제의 식민지배를 합리화하는 우익들의 왜곡된 역사의식을 적나라하게 담고 있는 것으로 11일 밝혀졌다. 이들의 교과서 왜곡은 올해 한일 관계의 지형을 흔들고 방향을 바꿀 수 있는 폭발력을 안고 있다. 일본 우익들의 도발은 최근 일본 사회에 불고 있는 우경화 바람을 타고 부쩍 기세를 올리고 있다. 일부 정치인들의 잇따른 망언과 시마네현 의회의 ‘다케시마(독도의 일본 이름)의 날’ 제정 시도는 이런 경향을 단적으로 보여준다. 우익들의 힘이 이처럼 세지면 미래지향적 한일 관계는 수사에 그칠 수밖에 없다. 역사 교과서 왜곡 문제에 대해 정부는 일단 ‘조용한 외교’로 접근하고 있다. 교과서 내용이 최종적으로 확정되지 않은 상태에서 수정을 요구할 경우 오히려 일본 우익들을 자극해 일본 정부의 발을 묶을 수 있다는 우려 때문으로 보인다. 다만 비공식적인 접촉을 통해선 한국민들의 우려를 전달하고 이를 검정 과정에 반영하도록 ‘압박’할 것으로 예상된다. 외교부 당국자는 “일본 스스로 과거를 직시하고 역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지혜를 찾는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부는 교과서 왜곡을 주도하는 일본 보수우익 세력과 이를 비판하는 대다수 양심적인 일본 국민 및 진보적인 세력을 분리해 대응할 계획이다. 지금까지 과거사 문제가 불거졌을 때 보수우익 세력과 구분하지 않은 채 일본을 싸잡아 비난함으로써 일본 내부의 자정노력을 지원하지 못했다는 판단 때문이다. 정부 당국자는 “중국은 이미 과거사를 왜곡하는 이들을 군국주의자, 보수세력 등으로 불러 일본 국민과 분리하고 있다”며 “우리도 이렇게 함으로써 한일 관계 전체를 해치지 않고 일본 내부의 비판적인 움직임을 장려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정부는 한일 시민단체들의 연대에도 기대를 걸고 있다. 정부 관계자는 “일본 내에도 우익에 반대하는 시민단체들이 많이 활동하고 있다”며 “정부는 한·중·일 공동 역사부교재 발간 등 이들의 활동을 적극 지원하고 있다”고 말했다. 정부는 동시에 지속적인 공동 역사연구를 통해 역사인식의 괴리를 극복할 필요성이 있다고 보고 있다. 지난해 말 일본 이부스키에서 열린 한일 정상회담에서는 올봄 만료되는 공동 역사연구를 연장하기로 원칙적으로 합의한 바 있다.
유강문 기자 moon@hani.co.kr
관련기사
항상 시민과 함께하겠습니다. 한겨레 구독신청 하기